백제의 대표적인 원형 제련로 8기 확인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에서 제련로 8기, 소성(불에 맞은 흔적) 유구 1기 등 다수의 백제 제철유구가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국내 3대 철 생산지이자 다수의 제철유적이 남아 있는 충주 등 중원 지역을 중심으로 고대 제철기술을 복원하기 위해 2015년부터 중장기 학술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차 조사는 충주 탄금대(명승 제42호)의 남쪽 경사면 지역을 대상으로 작년 1차 조사에 이어 지난 3월부터 진행중이다.
조사결과 200여㎡ 밖에 되지 않는 공간에 4세기대 백제의 대표적인 원형 제련로를 무려 8기(4호~11호)나 확인했다. 당시 백제인들이 이곳에서 집약적으로 철 생산을 해왔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면적당 조업구역의 밀집도로는 지금까지 발굴된 제철유적 중 가장 높다.
현재까지 6호와 7호, 8호, 9호, 10호, 11호 제련로에서 과거에 쓰던 제련로 위에 새 제련로를 다시 축조해 사용한 중복양상이 확인됐다. 4호 제련로의 경우 슬래그(철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지)가 흐른 원형의 수혈 유구가, 하부구조 바닥에서는 다수의 불탄 목재가 확인된 소성 유구가 나와 제련로까지 합치면 총 3기의 유구가 겹쳐진 채로 발견됐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제련로가 상하로 중복 축조된 것은 충주 칠금동 발굴현장이 오랜 시간 제철 조업을 해왔던 공간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당시 백제인들이 한반도 3대 철광산지이자 남한강 수운을 통한 유통 중심지인 충주의 탁월한 입지 조건을 기반으로 장기간 철 생산을 해왔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철 유적 외에도 조선시대 후기로 추정되는 건물지도 확인됐는데, 중앙에 단단하게 다져진 방형 공간의 중변으로 적심이 2열씩 돌아가구는 구조다. 향후 유적 보강조사를 실시 할 계획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