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엔드리스 로드' 프로그램 7기 입주작가인 백민석 소설가, 김봄 소설가, 김은주 시인. |
KAIST에는 학문의 길은 끝이 없다는 뜻을 지닌 길이 하나 있다. 학교 서측의 '엔드리스 로드'라 불리는 도로는 과학과 예술의 끝없는 시너지를 추구하겠다는 의미와 더불어 캐도 캐도 끝없이 나오는 창작 소재의 보고(寶庫)로써의 KAIST를 빗댄 말이기도 하다.
학교측은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문화교류의 기회를 열어주기 위해 지난 2013년 10월부터 이 길의 이름을 딴 ‘엔드리스 로드’ 예술가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해 오고 있다.
과학의 도시 대전, 국내 최고의 지성들이 모인 KAIST에서 스토리텔링의 비법과 힘을 전수하고 있는 7기 입주작가(백민석 소설가, 김봄 소설가, 김은주 시인)를 만나봤다.
▲ 백민석 소설가 |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나 이유는 뭔가.
▲<백민석>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했는데 페친이 올린 웹포스터를 보고 참여하게 됐다. 한마디로 외로우려고 왔다. <김봄>두뇌 회로가 다른, 정말 외계의 존재들끼리 만나는 자리는 참 매력적이다. 그런 낯선 체험, 낯선 교류를 하고 싶었다. <김은주>낯선 곳에 새로운 방을 갖는 것, 그 방과 천천히 친해지며 이내 익숙해지는 것, 그 사이 어디쯤에서 매일 조금씩 읽고 쓰는 걸 하고 싶었다.
-작가로서 이 프로그램이 도움이 됐다고 보나.
▲<김봄>타지에서의 일도 있어 오고가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로 대전이 좋아졌다. 작업하기도 좋고 창작하는 데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도 했다. <김은주>매주 월요일 학내 구성원에게 메일로 시(詩) 배달을 하고 있는데 자주 접하는 고전이나 베스트셀러 외에도 좋은 시, 젊은 시가 많다는 걸 소개하는 즐거움이 크다. 덕분에 스스로도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을 수 있어 좋다. 여기서 지내는 동안 신작시 10편, 산문 두 개를 썼으니 과작하는 편인 데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또 크고 작은 미션을 끊임없이 수행해야 하는 도시를 벗어나 일상을 간소화하고 집중하며 충분히 내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한다. <백민석>원했던 작업량보다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었다. 이곳에서 생활하면서 작품 4개를 완성했고 그 중 한 작품은 출간됐다. 나에겐 이곳이 ‘감옥’같다. 그래서인지 작업이 잘된다. ‘작업명당‘이다.
-과학과 예술의 융복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과학과 예술의 만남으로 어떤 시너지 효과가 있다고 보나.
▲<김은주> 예술에 있어 과학뿐 아니라 모든 장르와의 화학작용은 매력적이다. <백민석>아이디어의 공유, 데어터의 집적과 무의식적 창조능력의 결합으로 본다. <김봄>시너지가 아주 크다고 생각한다. 달에 인간을 제일 먼저 보낸 건, 과학자가 아니라 작가다. 상상력의 한계는 공학도든, 예술가든 늘 고민하는 것이고, 비유와 상징으로 번진 문장이 예술가는 물론 과학자들에게도 좋은 영감을 줄 수 있다. ‘통섭’까지 가지 않아도, 접촉 자체에서 오는 자극은 절대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시절, 포항공대와 교류수학 프로그램이 있었다. 한예종 교수들은 포항공대에 가서 ‘예술의 산책’이란 강의를 하고, 포항공대 교수들은 ‘과학의 산책’이라는 강의를 했었는데 두 학교 학생들 모두 열광하는 수업이었다. KAIST도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면 좋을 것 같다. 이미 7기까지 확보된 예술가들을 한 학기에 몇 명씩 초빙해서 특강 형식의 릴레이 강의를 이어가는 것도 좋을 듯하다.
▲ 김봄 소설가 |
-대전에 대한 인상과 일상은 어떤가.
▲<백민석>대전은 서울과 달리 너무 깨끗하고 한적해서 좋다, 특히 갑천 최고!. <김봄>시내까지 어지간한 마트와 백화점은 다 다녀봤는 데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유성터미널 뒤쪽 재래시장이었다. 그곳에서 언어 장애가 있는 상인이 파는 호떡을 사먹고 노점에서 사과도 반 박스 샀는데 너무 신선하고 달아 오래 두고 먹었다. 두고두고 생각날 것 같고 그것 때문에 대전에 또 오게 될 것 같다. 특히 찬란한 ‘봄’을 이곳에서 누릴 수 있어서 행복했다. <김은주>서울에 있을 때부터 관심을 가졌지만 마음먹지 못해 방문을 미뤄왔던 항공우주연구원 견학을 다녀왔다. 평일이라 개인 방문객이 혼자였는데 친절하게 맞이해줘서 기억에 남는다. 또 학내 오리연못 주변의 거위들을 보러 자주 간다. ‘순돌이’라고 이름 지어준 거위가 있는데, 근처로 가면 저를 알아보고 다가온다. 서로 얼굴을 알아보고 반가워하는 사이니 KAIST에서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닐까 한다.
-학내 구성원들과 어떤 교류활동을 해오고 있나.
▲<김봄>지난 5월 11일부터 4주간 4회에 걸쳐 ‘매력적인 캐릭터 연구회’ 특강을 가졌다. 학생들의 지적인 욕구가 높을 것으로 생각해 첫 강의부터 준비를 많이 해갔는 데도 불구하고 질문이 상당히 많아서 놀랐다. 그런데 나중에 들어보니 강의가 조금 어려웠다는 평도 있었다.<김은주>지난 4월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詩요일의 시배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작가가 선정한 한 편의 시를 코멘트와 함께 이메일로 전송하는 데 신청자가 300명 가까이 된다. 역대 최다 참여자 수라고 해서 어깨가 무겁다. 한번은 참여자에게서 답메일을 받았는데 반갑고 뿌듯했다. <백민석>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 특강’을 4~5월 4주간 4회 걸쳐 진행했다.
▲ 김은주 시인 |
-앞으로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김은주>엔드리스로드를 거쳐 간 작가가 스무 명 가량 된다고 하는데 시인은 제가 처음이라고 한다. 일상의 리듬을 해칠지 모른다는 우려보다는, 숨겨져 있는 감각을 열어주는 시도로써 많은 시인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면 한다. <백민석>젊은 학생들과의 교류가 중요하다. <김봄>좀 더 적극적으로 작가들이 학내 구성원들과 교류했으면 좋겠다. 공식적인 프로그램 외에도, 교내를 오가면서 소소한 인연을 만들었으면 한다.
대담=오주영 편집부국장(경제과학부장)
정리=현옥란·사진=이성희 기자
<7기 입주작가 소개>
▲백민석(소설가) 작가=1995년 계간지 <문학과 사회>에 소설 ‘내가 사랑한 캔디’로 데뷔했으며, <헤이, 우리 소풍 간다>, <내가 사랑한 캔디>, <불쌍한 꼬마 한스>, <목화밭 엽기전>, 소설집 <16믿거나말거나박물지>, <장원의 심부름꾼 소년>, 장편 <러셔>, <공포의 세기> 등을 집필했다.
▲김봄(소설가) 작가=십대 폭주족을 소재로 미성년 ‘루저’들의 좌절을 다룬 단편소설 <내 이름은 나나>로 2011년 세계의 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 첫 번째 소설집 <아오리를 먹는 오후>를 집필했다.
▲김은주(시인) 작가=200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분 당선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희치희치>를 집필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