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태석 전 대한치과의사협회 여론수렴위원장 |
그러나 치과 관련 산업은 열악한 환경에서 그들만의 노력으로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품목을 가진 몇 개 기업이 있지만 아직도 치과재료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과계 발전은 치과 관련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과 의료는 특성상 신소재, 바이오, 나노 산업과 같은 첨단 산업과 밀접한 의료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는 기초과학을 등한시하며 노벨상을 꿈꾸는 것과 같아, 원천기술 하나 없이 더 이상의 치과의료 발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치과대학 연구실에서 행해졌던 소규모, 저 예산 연구로는 세계를 움직일 만한 연구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치과 의료 산업의 세계화와 치과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정부 주도로 집중적 투자와 구강 보건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조율할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며 그 역할을 치의학연구원이 담당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치과의사들은 지금까지의 발전에 만족하지 못하고 국민의 구강보건 향상을 위해 치의학연구원의 필요성을 수차례 강조해 왔다. 지금까지는 순전히 치과계 사람들만의 힘으로 선진 학문과 기술을 어깨 너머로 배우고 흉내 내면서 하나하나 이룰 수 있었지만 다른 나라를 선도하고 가르쳐야 할 만큼 성장한 시점에서는 더 이상 치과계 힘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대한치과의사회는 이에 대한 전담부서를 마련하고, 치의학연구원 설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정관계에 홍보활동을 수년간 벌여, 공감대를 형성한 끝에 치의학연구원 설립을 눈앞에 두게 됐다.
이 과정에 연구원 유치를 희망하며 처음부터 치과의사협회와 뜻을 같이한 대전시를 포함한 지자체가 서너곳이 되며, 최근에도 유치 의사를 표명한 도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름 각 지자체마다 지역 특성을 살린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객관적으로 보면, 기초과학 정부출연 연구소가 밀집되어 있고, 국토의 중심에 있어 연구원의 수급이 원활하고, 특히 복지부, 식약청 등 관련기관에 근접해 있는 대전이 가장 유리하고 효율적이라 생각되지만 정치적 논리가 개입되면 상황은 한 순간에 뒤 바뀔 수가 있다. 그동안 대전시가 다른 분야에서 보여 온 미온적인 태도에서 쓴잔을 마셨던 많은 전례를 보지 않더라도 방심해선 안 될 것이다. 다른 지자체가 유치에 눈독을 들이는 데는 몇 백 명의 연구원과 몇 백억의 정부 예산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연구원 주위에 따라 올 전 세계 시장을 상대로 활동할 치과 첨단산업의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효과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대전시가 시장님을 비롯해서 몇몇 국회의원과 시의회의원들의 지금까지 보여 온 관심에 대해서는 감사를 드린다. 그러나 타 시도의 정치적 열정과 제시한 조건을 보면 걱정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진정 대전시가 치의학연구원의 대전 유치를 원한다면 시장을 중심으로 전 정치권, 언론, 시민단체가 힘을 합쳐 시민들의 여론을 유도하고 정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설득해야 할 것이다. 대전시민들은 몇 차례 경험했듯이 만약 유치 실패 시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이 흔들리고 시민들이 받을 자존심의 상처가 크다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기태석 전 대한치과의사협회 여론수렴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