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늘었지만, 비금융자산의 쏠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부(富)를 뜻하는 국민순자산은 1경3078조원으로 2015년 말보다 5.8%(715조원) 늘어난 것으로 추계됐다.
국민순자산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8.0배 수준이다.
경제주체별로 살펴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이 7539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일반정부(3543조6000억원), 비금융법인(1719조7000억원), 금융법인(275조6000억원) 등의 순이다.
지난해 말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가구당(2.5명 기준) 순자산은 3억6779만원으로 추정됐다. 2015년 말 3억5601만원보다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전체 국부에서 가계 비중은 크게 축소됐다. 국민순자산에서 가계 및 비영리단체 비중은 지난해 57.6%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떨어는데 2011년(57.5%)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반면 비금융법인 비중은 2015년 12.8%에서 지난해 13.1%로 약 0.4% 포인트 올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증가율은 2015년 6.2%에서 지난해 5.0%로 떨어졌지만, 비금융법인의 순자산 증가율은 같은 기간 7.5%에서 8.9%로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대차대조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가계 순자산 증가세의 둔화”라며 “지난해 주식시장 등에서 금융자산의 가치 변화가 개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했고 가계 소득이 크게 늘지 않은 점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의 보유 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이 커졌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에서 토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지난해 75.8%로 2015년보다 0.3% 포인트 상승했다. 가계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면 주택가격 하락 등의 상황 변화시 충격이 커질 우려가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뜨거웠던 부동산 열기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