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심 상권으로 ‘서점’ 등장
둔산동은 교보문고와 알라딘 중고서점
백화점 세이, 세이북스 리뉴얼 재오픈
도서 정찰제 이후 소비패턴 변화가 한몫
대화 없던 가족의 신흥 소통장소 각광
‘서점’이 부활하고 있다.
최근 1~2년 사이 폐업률이 가장 높았던 서점은 신흥 소통장소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뿐일까, 문화와 경제를 아우르는 소비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았다.
교보문고, 알라딘 중고서점, 세이북스… 둔산과 원도심 중심 상권으로 서점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서점의 부흥기였던 그 시절과는 비교할 수는 없지만, 2017년 오프라인 서점의 부활은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유통시장의 신흥강자로 떠오른 대전지역의 서점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책 냄새를 맡으며 빼곡한 책장 사이를 사색하던 시절이 있었다. 허나, 서점은 어느 순간 우리에게 매우 낯선 공간이 됐다. 파격 할인가를 앞세운 온라인 서점 등장 이후 규모와는 상관없이 지역 곳곳의 서점 간판은 순식간에 자취를 감췄다.
정가보다 큰 폭의 할인, 반나절 혹은 하루 배송, 사은품, 마일리지까지. 온라인 서점은 고정 소비층을 확보하며 보이지 않는 대형기업으로 성장했다. 책을 빠르게, 쉽게, 싸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대대적인 할인으로 도서업계는 과열양상이 뚜렷해졌다.
결국 정부는 2014년 11월 ‘도서정가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책이 저렴해야 출판업계가 살아날 수 있다는 여론도 뜨거웠지만, 10% 이상 할인 판매 할 수 없다는 정부의 의지는 확고했다. 도서정가제 이후 책값이 온오프라인으로 동일해지자 온라인 서점의 인기는 한층 시들해졌다. 반대로 온라인 서점은 상당수 늘어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오프라인 서점의 부활은 단순히 도서정가제의 효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지배적이다. 사색할 공간, 문화 놀이터, 종이책에 대한 ‘부재’와 ‘갈망’이 만들어 낸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는 판단이 우세하다.
▲온가족의 독서 놀이터 둔산동 교보문고=평일 오후 7시 무렵, 타임월드 갤러리아 맞은편에 위치한 교보문고는 매우 북적였다. 책을 고르는 시민들, 테이블과 곳곳에 배치된 공간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 중앙홀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스터디를 하는 학생들까지. 남녀노소 세대 구분없이 자연스럽게 융화돼 있는 모습이다. 곳곳에 앉을 좌석은 충분하게 조성돼 있지만 좌석은 이미 만석.
여행과 문학 코너에서 만난 박지혜 씨는 “서점의 매력은 종이책을 직접 만져보는 일이다. 수고스럽지만 직접 고르고 구매해야만 책에 대한 애정도 생기고 한자 한자 꼼꼼히 읽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도서정가제가 시행된 이후 책을 구입하는 시민들의 소비패턴이 매우 신중해졌다는 의미다.
주말이면 자녀와 문화산책을 나오는 이도연씨 가족에게도 교보문고는 풍성한 놀이터다.
아들과 함께 서점에 나온 이도연씨는 “아이들이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공간은 서점이 가장 적합 한 것 같다. 아이때문에 방문하게 됐지만 최근에는 나 자신을 위한 사색의 시간이 되는 것 같아서 자주 찾고 있다”며 교보문고의 단골손님을 자청했다.
교보문고 관계자는 “서점 오픈 이후 다양한 소비층들이 찾고 있다. 책 판매율도 급증세”라고 전했다.
교보문고의 등장은 삭막한 둔산 일대에 휴식과 쉼터 공간을 제공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중고면 어때, 은행동&둔산동 알라딘=알라딘 오프라인 매장은 중고서점으로 대전에는 2곳이 있다. 은행점과 시청점이다.
알라딘 중고서점은 버리기 아까운 책을 재판매하고, 필요한 소비층에게 다시 판매되는 리사이클 개념이다. 시청점 알라딘 매장은 꽤 규모가 넓다. 중고서적은 분야별로 매우 정교하게 나뉘어 있고 헌책이라 볼 수 없을 만큼 책의 상태도 양호하다. 교보문고가 대학생과 청년들의 장소라면, 알라딘은 유치원부터 초등학생들 둔 가족단위의 소비자들이 주를 이룬다.
동화책을 구입하던 김종민 씨는 “어린이 동화책은 수명이 짧다. 정가로 구입하기가 부담스러워서 알라딘 중고서점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중고지만 책의 상태가 양호해서 새책을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알라딘 시청점도 소비자들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열린 문화공간임을 보여주는 예다.
▲영화부터 독서까지 세이북스=백화점 세이 본관 지하 1층에 있던 세이북스가 세이투 5층 매장으로 리뉴얼 후 옮겨졌다. 지난 6월2일 정식 오픈하며 세이도 서점 열풍에 동참했다.
영화관, 푸드코너와 인접한 주요층으로 소비자와 친밀하게 스킨십을 하겠다는 리뉴얼 의도가 숨어 있다.
세이백화점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동선에 맞춰 서점을 지하에서 상위층으로 이동 시켰다. 영화와 서적, 문화센터 등 다양한 분야로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춰가겠다”고 강조했다.
▲교통문화의 중심 터미널 영풍문고=복합터미널 영풍문고는 2011년 오픈했다. 터미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속버스를 타고 내리는 고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장소다. 또 위층에 영화관이 있어 대기시간에 짬을 내서 구경하는 고객들이 많다. 대전역과 유사하게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기 때문에 책 판매율도 높다.
2016년 기준 전국 오프라인 서점 신설매장은 총 38곳이다. 교보문고가 13곳으로 가장 많고, 영풍문고 7곳, 알라딘 13곳 등이다.
오프라인 서점의 등장은 반가운 소식이다.
경제전문가는 “오프라인 서점은 작년부터 대규모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당장 책 소비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미비하지만, 소통과 문화가 이뤄지는 공간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 소비층의 니즈를 꿰뚫는 서점의 판매전략과 마케팅이 향후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해미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