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번의 경청토론회는 모두 ‘우수시책 발표’, ‘현안 과제’, ‘자유토론’으로 진행됐다. 우수시책 발표는 각 자치구의 ‘자랑할 만한’ 시책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자치구 국·과장급이 직접 발표했다. 구민에게 우수 시책을 설명하며 어떤 자치구는 자기자랑에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 잘하는 시책은 계속 잘하면 될 것인데 지난 언론보도까지 소개하며 시민의 발언 시간을 잡아먹었다. 현안 과제는 자치구가 당면한 숙원사업에 대한 대전시 지원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사전에 현안 과제를 전달받은 대전시는 구민 앞에서 선심성 예산 지원을 약속했다. 굳이 시민들이 앉아 있는 자리에서 하지 않아도 될 내용으로 다가왔다.
자치구가 실질적인 행사를 준비하면서 자치구별 완성도에 크고 작은 차이도 느껴졌다. 경청의 참뜻을 간파해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하려 했던 자치구가 있던 반면, 행사 전반이 엉성해 발걸음을 한 구민에게 민망함을 준 자치구도 있었다.
돋보인 건 유성구다. 토론회 무대를 야외로 선정해 오가는 시민들이 현장을 지켜볼 수 있게 했다. 좌석 배치도 시민 중심이었다. 대전시가 민감하게 느낄 사안에 대한 이야기가 서슴없이 등장했다. 허태정 구청장은 발언을 최소화하고 대전시장과 구민이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행사 준비도 철저했다. 원형 무대 앞쪽에 프로젝터를 설치해 발언자의 모습을 비췄다.
반면, 대덕구가 준비한 토론회는 아쉬움을 남겼다. 현장의 에어컨이 고장나 대형 선풍기 소리에 발언자의 목소리는 흩어졌고 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일쑤였다. 준비한 프레젠테이션 발표는 장비 문제로 행사 후반부로 밀려났고 발표를 맡은 대덕구 간부급 공무원은 발표하지 않겠다고 했다가 번복하는 등 우스꽝스런 모습을 보였다.
새롭게 바뀐 경청토론회는 내년엔 볼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민을 동원하는 행사를 개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젠가 부활할 경청토론회가 ‘경청’을 기치로 한 진정한 ‘소통의 장’이 되기 위해선 소통의 의미를 깨닫고 더 많은 준비를 기해야 할 것이다.
임효인 사회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