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되면 민주당 표 분산, 집권여당 프리미엄 유리
‘5당 체제’를 바라보는 충청 정가의 마음이 복잡하다.
5당 체제의 지속 또는 변화 여부에 따라 지방선거 판이 요동칠 수 있어서다.
19대 대선 이후 5당 대결 구도가 굳어졌다는 평가 속에 지역 정가는 현 5당 체제가 내년 지방선거까지 이어질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대선이 끝나면서 정치권은 본격적인 정계개편 논의에 들어간 모습이다.
각 당에선 독자 생존을 모색해야 한다는 ‘자강론’과 이념이 맞는 정당끼리 힘을 합치는 ‘연대·통합론’, 국정 참여를 목적으로 한 ‘연정론’ 등이 분출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은 거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양강 체제 강화 혹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정의당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다당 체제 정착화를 놓고 정치적 계산이 분주하다.
현재로선 이번 대선으로 5당 체제가 굳혀졌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대선 결과가 국민들이 정책 다양성을 토대로 한 다당제를 선택했음을 증명한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5당 체제가 내년 지방선거까지 이어지면 민주당이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번 대선처럼 표가 정당별로 분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와 집권여당인 민주당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표가 분산되는 단점이 있다.
여당이 50%, 야당이 50%의 지지를 얻는다고 볼 때 여당은 전체 지지율을 고스란히 가져가는 반면 야권은 4당이 지지를 나눠 가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당 대 당 통합 등 빅뱅 수준의 정계개편 또는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실현 가능성이 적다는데 대부분 공감한다.
국민을 설득할 명분이 충분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바른정당이 개혁 보수를 자처하며 자유한국당과의 차별화에 나서고, 국민의당이 정치적 기반인 호남을 버릴 수 없는 점도 연대·통합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다만 지방선거가 대선·총선보다 정치색이 비교적 옅다는 점에서 5당 체제의 영향이 미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전 정가 인사는 “5당 체제가 이어질지, 변화할지는 지금으로선 미지수지만 민주당이 집권여당 프리미엄과 표 분산 효과를 얻는 건 확실하다”면서도 “인물론이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인 만큼 인물과 정책 기반으로 경쟁구도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