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공약탐구] 고암 이응노의 브랜드화

  • 문화
  • 문화 일반

[충청공약탐구] 고암 이응노의 브랜드화

  • 승인 2017-04-05 17:01
  • 신문게재 2017-04-06 1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지역 대표하는 문화계 인물 브랜드화 공약화 작업 필요 여론 고개

각 도시들의 문화 콘텐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대전이 문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이번 5월 대선에서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계 인물의 브랜드화와 이를 보장할수 있는 공약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대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문화계로는 지난 2007년 이응노미술관 개관과 함께 화려하게 부활한 고(故) 이응노 화백을 꼽을수 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이름이 알려졌던 근대회화의 거장인 고 이응노 화백은 박정희 정권 당시인 지난 1967년 동베를린공작단사건(동백림 사건)의 2년여간 대전 교도소 수감생활이 인연이 돼 지난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관 개관에 이르렀다.

이후 2012년에는 고암미술문화재단으로 재탄생됐다.

세종시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장욱진 화백을 지역 대표 인적문화자산으로 육성하기 위해 생가복원 등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자신이 아닌 타인을 위한 삶을 살았던 조선시대 대표적인 기부천사이자 여성 CEO였던 의녀 김만덕을 대표 문화로 육성하기 위해 창작뮤지컬을 계획하는 등 문화마케팅에 한창이다.

제2차 세계대전후 폐허가 됐던 핀란드의 시골마을인 로바니에미는 ‘산타 마을’이라는 컨텐츠 하나로 해마다 평균 5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며 연간 5조 원(약 46억 달러)의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이처럼 국외를 비롯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저마다 도시를 상징하는 대표 인물을 찾기 위해 혈안이다.

대전도 지역과 연관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물을 어떻게 재탄생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지역에서는 고암이 겪은 삶의 질곡과 감동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한다면 도시의 브랜드로 자리잡기에 충분하다는 목소리다.

이미 이응노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들을 활용하고 고암의 생애와 업적을 스토리텔링하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차별화할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브랜드화한다면, 대전만의 문화자산으로 만들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이를 이번 대선에서 대선주자들과 함께 충청권의 대표 문화 브랜드로 함께 고민하고 대표지역 문화 공약으로 함께 키워내 충청의 대표 문화 브랜드로 키워내는 것이 지역의 숙제다.

이지호 고암미술문화재단 대표는 “이응노는 이미 충청권에서는 홍성 예산 대전 등 충청 작가를 넘어서 국제적인 작가로 반열에 올랐다”며 “대전의 문화 인프라 가운데 중앙과 국제적인 지명도를 가질 수 있는 화가다. 좀 더 나아가 대전이라는 도시를 국제도시로 나아가는데 동반효과를 올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조리원 대체전담인력제' 본격 추진... 학교급식 갈등 풀릴까
  2. 대전·충남서 의대학생·의사 등 600여명 상경집회…"재발방지 거버넌스 구성을"
  3.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4. [2025 과학의 날] 국민의 오늘과 내일을 지키는 기술, 그 중심에 ETRI
  5. 대전전파관리소 5월 28일 정보보호최고책임자 대상 정보보호 설명회
  1. "시간, 돈만 날려"…결혼정보업체 과대광고, 계약미이행에 눈물 쏟는 이용자들
  2.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3. ‘한 지붕 두 가족’…국화아파트 통합 추진준비위 두 곳 경쟁
  4. 관광만 집중한 충남도… 문화예술 뒷전? 올해 신규사업 0건
  5.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헤드라인 뉴스


대전 연고 프로스포츠, 드디어 `전성기` 맞았다

대전 연고 프로스포츠, 드디어 '전성기' 맞았다

대전을 연고로 한 프로스포츠 구단들이 올 시즌 절정의 기량으로 리그를 나란히 휩쓸면서 팬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대전하나시티즌의 눈부신 활약을 선보이며 시즌 초반 리그 선두를 질주하고 있다. 대전은 4월 19일 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9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김천에 2-0으로 승리했다. 1·2위 맞대결에서 승점 3점을 따낸 대전은 6승 2무 2패로, 전체 프로구단 중 가장 먼저 승점 20점을 넘기며 K리그1 1위를 지켜냈다. 대전의 돌풍을 이끄는 핵심은 바로 '골잡이' 주민규다. 김천과의 경기에서도..

배달의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배달의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대전 자영업자들이 배달 플랫폼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이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키로 하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각에선 포장 주문을 해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전화 주문을 하고 찾아와 결재하지 않는 이른바 노쇼를 방지할 수 있어 어쩔 수 없이 이어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고충을 호소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14일부터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포장 주문 서비스에도 중개 수수료 6.8%(부가세 별도)를 부과하자 지역에서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부 업주들은 포장 주문 서비스를 해지했다. 대전 서..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 활발… 실수요자 관심↑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 활발… 실수요자 관심↑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이미 분양한 단지뿐 아니라 추진 중인 사업장도 주목받고 있다. 21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도안 2단계 개발사업은 유성구 복용·용계·학하동 일대 300만 6319㎡ 규모에 주택 1만 7632세대가 들어서는 신도시급 대단위 주거벨트다. 이 지역은 이미 완판된 1단계(616만 7000㎡)와 사업이 예정된 3단계(309만㎡) 사이에 위치해 도안 신도시의 '중심'으로 불린다. 이와 함께 2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