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급기야 구속 수감되었다.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참 불행한 일이다. 그는 2012년 대선에서 유권자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받아 당선된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었다. 앞으로 재판을 통해 진실이 규명되겠지만, 대선에서 승리한 ‘대통령의 저주’가 5년마다 되풀이되고 있는 이 마법(魔法)을 우리는 여전히 풀지 못하고 있다.
이번의 저주는 대통령 비선실세의 국정농단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그 본질은 대통령 리더십의 실패다. 2012년 당시 우리나라 상황에서 국민들이 대통령에게 요구하고 기대했던 리더십은 대체로 네가지였다. 첫째가 미래지향적 리더십이다. 한 국가의 최고 리더가 반드시 가져야 할 최우선 리더십은 국가와 국민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공감을 얻어서 그 길로 인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은 대선 당시 국민행복과 100% 대한민국을 만들 것을 약속했지만, 대부분의 정책과 인사(人事)는 미래로 가지 않고 과거로 회귀했다. 국정운영의 틀과 방식은 미래는 커녕 현재의 달라진 환경에도 맞지않는 구태의연한 것이었다. 세월호 사건, 메르스 사태, 정윤회 사건 때 이미 문제가 드러났는데도 해결할 의지가 없었다. 필자는 언론기고와 집필한 책을 통해 누차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을 촉구한 바 있는데도 그 골든 타임을 놓친것이 아쉽기만 하다.
둘째, 국민과 소통하고 각료들과 끊임없이 토론해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의사소통의 리더십이다. 전 대통령은 이를 소홀히 했다. 그 중요성을 간과한 것이다. 대면보고를 외면하고 측근 몇몇들이 작성해준 문서와 자료들을 보는것으로 숱한 밤을 세웠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는 올바른 결정이 이루어질 수 가 없는데도 말이다. 위안부 문제를 해결한다고 당사자와의 소통과 사전 동의도 없이 전격적으로 처리한 한일협정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역사교과서 문제도 의사소통이 미흡한건 마찬가지다.
셋째, 국민화합과 통합의 리더십이다. 지역갈등, 이념갈등, 세대갈등 등 온갖 갈등에 지친 국민들은 100%는 아니어도 최소한 50% 대한민국은 되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전 대통령은 포용력과 탕평의 용인술을 보여주지 못했다. 끝으로 청렴의 리더십이다. 박 전 대통령에게 가장 기대했던 리더십이다. 그러나 그는 최순실이라는 사사로운 인연을 끊지 못하고 엄중한 국정을 그르침과 동시에 국민들을 실망시키고 말았다.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해 나타난 예고된 리더십 실패다.
이제 우리는 새 리더십을 갖춘 대통령을 또 뽑아야 한다. 지난 대통령들의 리더십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다시는 대선 승자의 저주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후보들의 철저한 자기 성찰과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을 다시금 촉구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