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은 1946년 제정된 ‘식목일’이다. 애림사상을 높이고 산지 자원화를 위해 나무를 심는 대표적인 산림 기념일이다. 식목일부터 한달 동안은 국민식수기간으로 전국 곳곳에서 행사가 진행된다. 산림청은 올해 개청 50주년을 맞아 식목일 전후로 54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대대적인 산림행정을 예고한 바 있다. 식목일을 앞두고 면적비율 세계 4대 녹지국가로 우뚝 선 대한민국의 산림의 현실과 문제점을 점검해보고, 산림의 가치를 높여줄 수목림과 산림치유의 방향성을 진단해 본다. <편집자 주>
산림 공익적 가치 연 126조원
31년생 이상 장령림 비율 가장 높아
개발과 보존, 이용 체계적 계획 필요
대한민국 산림면적은 2015년 기준 633만 5000ha다. 산림비율 63.2%로 세계 상위권 수준이다. OECD 국가 중 핀란드(73.1%), 일본(68.5%), 스웨덴(68.4%)에 이어 이름을 올린 세계 4대 녹지국가다. ha당 산림의 양은 무려 146㎥으로 OECD 평균 131㎥에 상회하는 수준이다. 3000여평 안에 나무의 양이 매우 빼곡한 편에 속한다.
1962년부터 시작된 치산녹화사업으로 95억 그루의 나무가 31~50년생인 장령림에 도달했고, 90년대부터 숲가꾸기와 산림자원관리 효과로 임목축적 비율은 급증했다. 대한민국 산림은 비약적인 도약기를 거쳐 안정기에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매년 감소하는 산림 비율을 더는 묵과할 수 없다.
2010년을 기준으로 매년 여의도면적 약 24배에 달하는 산림이 사라졌다. 도로와 주택, 산업단지 조성 등 국토 개발은 산림 감소의 주 원인이다. 오히려 병해충이나 산불로 인한 피해는 빠른 복구가 이뤄지기 때문에 산림 감소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것이 산림청의 설명이다.
김용진 산림청 산림정책과 사무관은 “산림청의 정책기조는 산림의 이용과 보존의 조화다. 산지전용지역이 다른 용도로 파편화되지 않도록 정책 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국토가 좁아 산림에 대한 개발 수요가 높았으나, 앞으로는 토지수요가 줄어 자연스럽게 산림 녹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결국 산림은 맹목적인 개발의 타깃이 아닌 나무를 키워 자원으로 축적하는 미래 수단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점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개발과 보존의 접점을 찾아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나무는 수종마다 다르지만 법적으로 50년이 지나면 벌목할 수 있다. 나무의 나이를 일정한 폭(10년)인 영급으로 묶는데, 1영급에서 6영급까지 골고루 식재돼 있어야 건강한 산림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31년생(4영급 이상) 영급이 산림면적의 437만7000ha로 가장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김용진 사무관은 “다양한 산림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예전에는 나무를 심기만 했지만, 이제는 베어서 쓸 수 있는 때가 왔다. 국민들은 벌목에 대해 막연한 거부감이 있으나 이 또한 미래를 위한 준비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1970년부터 시작된 치산녹화사업은 성공적으로 평가된다. 덕분에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연 126조의 혜택을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기정화, 수질개선, 토사유출, 산사태 방지 등 잘 키워낸 산림의 효용가치를 무한히 누리고 있는 셈이다.
전국 산림면적 비율은 강원도가 81.5%로 가장 높고, 이어 경북 70.3%, 경남 66.6% 순이다. 서울은 25.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