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지역대학들이 존폐 위기가 예고되면서 ‘자원공유’와 ‘효율화’에 집중한 연합대학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이미 대학자율역량강화 사업을 비롯해 국립대학혁신지원사업,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까지 대학 간 교류협력과 연합, 연계를 유도하기 위한 각종 ‘당근책’을 제시하면서 대학의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정부의 유도에 발맞춰 지역 대학들은 대학 연계를 모색하면서도 한편으로는 10여년전 대학 통합 논의가 재점화 될수 있다는 우려감 속에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통합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효율화 모색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 정부차원의 지원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대전시는 지난 2012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자치단체, 출연기관, 대학이 손을 잡고 학점을 교류하는 ‘연합교양대학’을 옛 충남도청사 부지에 운영해왔다.
당초 대학간 경계없이 수업을 교환하는 연합교양대학은 신선했다. 대전지역의 10대 대학이 자신들이 내세울 수 있는 강좌를 개설해 학교간 벽을 허물고 수업을 들을 수 있고 학점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각 대학별로 대표 강좌 10여개와 공통강좌 5~6개 등 16개 이상의 강좌가 운영돼왔다. 하지만 민선시장이 바뀌고 대학들의 관심이 시들해지면서 현재는 2개의 강좌만 운영중이다. 최고의 인문학자들과 소통하는 ‘인문학의 향기’와 대전의 역사, 문화 등을 통해 지역에 대한 정체성을 찾아가는 ‘대전학’두 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과목당 2학점이 부여된다.
여전히 10개의 대학교 학생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560여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최근 연합대학이 활성화 되기 이전 대전시의 시도는 대학 자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시도된 바람직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정부의 재정 지원이 절실한 대학들은 앞다퉈 연합체제를 결성하고 있지만, 효율성에 주목하고 대학별 강점인 특성화를 강화하는데 주목해야 한다.
공동연구와 학생프로그램, 봉사활동 교류, 기자재 교류, 공동 시설 활용 등 자원 공유를 통해 대학들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의 경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충남대 김규용 기획부처장은 “대학이 통합에 대해 민감한 상황이어서 조심스럽지만, 학령인구 감소 등 환경이 변화할 경우 효율화를 꾀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맞다”며 “정부나 지자체가 대학들이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원 공유의 장을 열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