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의심 신고는 1주일 가까이 하루 0∼2건에 불과해 AI가 진정세에 접어든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최초 의심 신고가 있은 지난해 11월 16일 이후 49일째인 이날 0시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살처분된 가금류는 총 2천998만 마리로, 3000만 마리를 코앞에 두고 있다.
이는 국내 전체 가금류 사육규모 1억 6525만 마리의 18.1%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과거 피해가 가장 컸던 2014~2015년 517일간 1937만 마리가 살처분됐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AI 사태는 최단 기간 내 최악의 피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살처분된 가금류를 종별로 보면 알 낳는 닭인 산란계가 사육규모의 32.1%에 해당하는 2245만 마리, 번식용 닭인 산란종계가 사육규모의 절반에 가까운 41만 마리로 집계됐다.
병아리가 산란용 닭으로 자라기까지 6개월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할 때 ‘계란 대란’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신규 의심 신고는 1주일 가까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어 당국은 AI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지난해 12월 27일 1건, 28일 0건, 29일 1건, 30일 2건, 31일 1건, 올 들어 지난 1일에는 2건이 의심 신고되는 등 엿새째 0~2건을 기록하고 있다.
AI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때 신고 건수가 10~14건이르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야생조류 확진 건수도 총 33건(H5N6형 32건, H5N8형 1건)으로, 이틀째 0건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일 신규 의심신고가 접수된 안성(37만 마리)과 화성(4만8천 마리)은 모두 산란계 농장으로, 화성의 경우 농장주가 의심농장 반경 1㎞ 이내에 60여만마리의 농장을 소유하고 있어 예방적 차원에서 닭 110만 마리를 살처분해 피해가 컸다.
정부는 대한양계협회와 공동으로 추가 예산을 투입, 방역 농가에 방역 조끼를 지급하는 등 AI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살처분 등으로 인한 가금류 농가의 트라우마에 대해서는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전국 14곳에 소재한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를 통해 심리상담을 진행하기로 했다.
세종=백운석기자 b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