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강중의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며 자신의 꿈과 끼를 발견해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학교, 가정, 지역사회가 조합을 만들어 나갈 때 성공의 승패를 좌우한다는 이념으로 이정표를 바로 세우는 작업을 최우선 목표로 정했다.
▲부강중의 자유학기제 운영 목표=부강중은 다함께 성장하는 부강인의 교육 지표로 이번 자유학기제에 3가지 운영에 중점을 뒀다.
우선 학생과 교사, 학부모가 서로 협력해 자유학기제 운영환경을 조성하고, 교과교육과정을 재구성해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발휘할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학생의 선택을 존중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해 체험의 폭을 넓혀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 3월 1일 학기 시작과 함께 1학년 44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의 내용 분석과 학교 환경 및 학생의식 조사, 운영절차 협의 등의 계획을 수립했다.
자유학기제 실천을 위해 직원연수 및 홍보활동, 분과별 업무분담, 설문조사 및 분석, 실천과제 설정해 계획서를 작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운영위원회 협의와 심의를 거쳐, 실천과제를 적용해 결과를 도출하고 한 해 동안 진행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피드백하고 결과를 분석, 추수지도를 진행했다.
▲토론과 실습 특색활동=부강중의 자유학기제는 학생참여중심수업을 통해 꿈과 끼를 발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하는 운영에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학습 시간마다 토론과 실습, 협력, 프로젝트, 게임형, 거꾸로 학습 방법 등 다양한 수업을 전개해 학생들의 자유의견을 반영하다. 주로 모둠활동을 통해 함께 배우는 연습을 하고, 협력하며 학습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게임놀이와 협동학습, 실험, 체험 등으로 흥미를 부여하는 학습소재 주제로 서로 돕고 공동의 창의성을 표현하는 시간이 늘렸다. 또한, 글, 그림, 행동, 말로 주제에 따라 왕성한 표현들이 분출돼 학습결과물이 다양한 형체로 배출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수업 사례로 과학으로 거꾸로 교실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수업내용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고 테스트하여 다른 모둠과 서로 만든 게임을 공유하며 학습하는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활동도 빼놓을 수 없다. 교사학습공동체가 첫 거름을 내딛듯 지난 1학기에는 주기적인 소통으로 집단지성으로 자유학기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다듬어가고 의견을 수렴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어려워하는 신규선생님들과 함께 계획을 세우며 자유학기제에 대해 알아가고 계획하는 시간을 통해 조금이나마 불안을 해소 할 수 있도록 했다. 2학기에는 주로 각자의 수업 장면과 학생들의 변화, 혹은 자유학기를 진행하며 부족한 점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평가 방안 등 자유학기제에 대한 주제를 선정해 미리 생각해보고 이에 대해 토의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올해 처음 도입된 자유학기제로 알찬 결실을 맺기에는 부족했지만, 이를 밑거름으로 앞으로 양질의 다양한 진로체험활동은 개발해 지역 공동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두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자유학기제=부강중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도덕 등과 같은 기본교과로 구성된 ‘교과과정’과 학생의 흥미와 관심사를 기반으로 구성된 ‘자유학기과정’의 두영역으로 구분해 편성ㆍ운영했다.
먼저 국어 교과과정에서는 설명하는 글읽기, 글쓰기, 단어의 짜임, 비평문 일기, 문학작품 평가하기 등 진행을 통해 매회 자신의 학습내용을 스스로 평가하고, 반성하는 ‘자기평가’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뤄냈다.
사회 과목은 재무설계의 달인, 인구 분포, 인구 이동, 인구 문제 등의 수업으로 주제 관련 자료를 충분히 수집해 타당하게 분류하고, 주제 해석을 정확히 하는 능력을 갖도록 했다.
도덕은 남북의 분단배경과 통일의 필요성, 바람직한 통일 모습, 사이버 윤리와 예절 등으로 단원을 구분해 수업을 진행했다.
수학은 도수분포와 그래프 과목을 통해 통계자료를 활용해 수학신문을 제작했고, 기본도형과 삼각형, 평면도형의 성질, 입체도형의 성질 등을 통해 모둠활동을 통한 자발적 학습, 수준별 학습으로 장기간 프로그램 수행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학생자율평가의 기록지를 모아둔 포트폴리오를 평가했다.
세종=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