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바디우, 민음사 刊 |
현대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 알랭 바디우의 새로운 행복론 '행복의 형이상학'이 출간됐다. 알랭 바디우는 '행복의 형이상학'에서 행복과 만족은 다르다고 말한다. 우리는 욕구와 충족의 끝없는 연쇄에서 벗어나 삶다운 삶, 참된 삶을 추구할 능력이 있다.
행복을 말하기 어려운 현실과, 만족과 체념을 설파하는 행복론의 홍수 사이에서 바디우가 펼치는 혁신적 행복론이다. 침울한 일상 속에서 빛나는 삶을 획득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새로운 행복을 선택하고,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 행복이란, 주체로 서는 것이다.
지금 이곳 열정과 분노로 가득한 광장에서, 다시는 이전과 같은 세계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새로운 행복의 정체가 밝혀진다. 언제나 한 편의 시, 두 사람의 사랑, 배움의 기쁨, 거리의 시위와 같은 '가까운' 영역에서 진리를 발견해 온 바디우는 사뮈엘 베케트의 시에서 출발한다.
“짐승의 썩은 고기 조각 하나도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은. 뭐 입맛만 다실 수밖에. 아니. 조금만 더. 아주 조금만. 이 공백을 열망할 시간. 행복을 알아 갈 시간.”
바디우는 말한다. 행복이란 만족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일상적 만족을 주는 자잘한 보상들, 훌륭한 직업, 적당한 보수, 무쇠 같은 건강, 명랑한 부부 관계,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휴가, 유쾌한 친구들, 잘 갖춰진 집, 쾌적한 자동차….”로 이어지는 평온한 삶의 목록은 행복과 무관하다. 세계는 기존의 세계 그대로 굴러가기 위해서 기존의 만족에 머무르도록 사람들을 길들인다.
하지만 우리는 욕구와 충족의 끝없는 연쇄에서 벗어나 삶다운 삶, 참된 삶을 추구할 능력이 있다. 그리고 참된 삶을 추구하는 도정을 증명하는 표지가 바로 행복이다. 바디우에 따르면 이렇듯 참(Vrai), 참된 삶(la vraie vie) 그리고 행복 사이의 논리적 필연을 밝히는 것이야말로 철학 고유의 욕망이다.
“요컨대 모든 철학은 행복의 형이상학이다.”행복이란 주체로 서는 것이라는 바디우의 정식은 다음같이 적용해 볼 수 있다. 그러니까, 다들 말하듯이 공부를 열심히 해서 시험을 잘 보고, 좋은 직장을 구하고, 괜찮은 상대를 만나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면 나는 행복해질까? 손에 쥔 스마트폰으로 끊임없이 쇼핑하고 소통하면서 지쳐 가는 것은 왜일까? 최근의 화제처럼 덜 사고, 더 버리는 데서 찾는 자유의 비결과 그 내막은 무엇인가? 그리고 인생에서 중요한 결단을 내 손으로 내려야 할 때, 두려움과 외로움과 같이 오는 기쁨의 정체는 무엇일까?
행복의 형이상학을 읽는 일은 그동안 행복이라 믿었던 것을 다시 보고, 일상 속에 잊힌 귀한 가능성들을 돌아보는 사유의 쾌락을 선사한다.
사람들의 삶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못하는 철학에 혁신을 요구하며, 누구나 가담할 수 있는 예술, 사랑, 학문, 정치라는 네 영역에서 진리를 발견하는 바디우는 이번에도 학자들 그리고 독자들에게 사고의 자극과 활발한 논쟁을 예비한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