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고민 덜게 됐으니 앞으로 더 열심히 일해야죠.”
대전 중구 소재 고객서비스아웃소싱전문기업 (주)그린CS에 다니는 박모씨의 말이다.
엄마이자 직장여성인 박씨는 지난 6월 회사가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자 바로 신청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항상 아이들 생각에 걱정이 많았기 때문이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유연근로제도의 하나로 육아나 학업, 가족돌봄 등의 사유로 필요에 따라 전일제근로자가 일정기간 짧은 시간 근무하면서 전일제와 차별없는 근무(고용)형태를 말한다.
박씨의 근로시간은 주40시간에서 30시간으로, 월평균임금은 50만원가량 각각 감소했다. 월급은 줄었지만 육아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직장생활을 계속할 수 있어 시간선택제에 만족하고 있다. 박씨는 “근무시간은 적은데 업무능률은 향상된 것 같다”며 “육아문제가 해결되니 일에 몰두할 수 있고 직장생활이 즐겁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업무공백을 우려해 제도도입을 망설였던 회사도, 업무과중을 걱정하던 동료 근로자들도 반색하고 있다.
이보성 인사담당대리는 “직종 특성상 감정소모가 많고 숙련된 직원을 양성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어 직원 한명의 퇴사는 곧 회사의 막대한 손실로 이어진다”면서 “시간선택제 도입으로 회사는 육아문제로 전문역량을 갖춘 직원을 잃지 않게 됐고 직원들의 업무능률이 향상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직원 A씨는 “다른 직원들이 시간선택제를 신청한다고 했을 때 업무공백을 어떻게 메워야 하나하고 걱정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현실은 걱정과 달랐고 나 역시 언제든 전환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더 이상 불만이 생기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대전 서구에 있는 고객서비스기업 서비스탑(주)은 다양한 모성보호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난임휴직, 임산부 단축근로, 출산전후휴가, 유연·반일근무제, 가족돌봄휴직, 육아기근로시간단축 등이 대표적이다.
2015년 기준 육아휴직사용 및 육아휴직 자동연장사용비율은 90%를 웃돌고 육아휴직 복귀자비율도 80%를 상회한다.
콜센터와 텔레마케팅이 주요사업으로 직원 중 여성 비중이 높아 모성보호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이들 두 기업의 사례는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이 사회 전반으로 서서히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달 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 일·가정양립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시간선택제·시차출퇴근제·탄력적근무제·재량근무제·원격근무제 등 5개 유연근로제도 중 하나라도 도입했다는 기업은 21.9%였다.
제도별로는 시차출퇴근제·시간선택제·탄력근무제 실시비율이 각각 12% 안팎으로 높은 편이고 원격근무제·재량근무제는 3~4%로 낮았다.
시간선택제 실시율은 300인이상 사업체 33%, 5~9인 사업체 6.2%로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실시율도 높았다.
유연근무제도 도입·확산의 어려움은 적합직무가 없어서(25.7%), 직원근태 및 근무평정 등 노무관리 어려움(25.3%), 업무협의의 어려움(19.8%), 희망근로자 없음(19.0%) 순으로 지적됐다.
이밖에도 육아휴직제도는 인지도 82.0%, 도입률 58.3%, 시행률 59.0%로 조사됐고 근로자가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을 줄이는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는 인지도 66.0%, 도입률 37.8%, 시행률 27.2%였다.
일·가정 양립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21.7%)에 이어 유연근로제 확산(14.3%), 사회인식 및 기업문화 개선 캠페인(12.6%), 남녀고용 차별 개선 및 직장내 성희롱 예방(11.6%), 남성과 여성의 자유로운 육아휴직 사용(11.4%) 등이 차례로 꼽혔다.
박형정 대전고용노동청장은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해선 장시간 근무관행을 없애고 일하는 방식을 효율화하는 등 기업문화를 개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지역기업은 물론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일·가정 양립이 지역에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heyyu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