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세기, 백민석, 문학과지성사 刊
|
2013년 복귀와 함께 출간한 소설집 『혀끝의 남자』 이후 『수림』 연작과 『아트 워』 연작 등을 발표하는 동시에 '문학과사회'에 연재한 장편소설 『공포의 세기』를 책으로 엮었다.
무서운 존재가 어느 날 살그머니 내 옆으로 다가와, 꿈과 현실을 쫓아다닌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괴물로 태어나거나, 괴물이 되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작품은 새 밀레니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출발한다.
'모비'라는 괴물 같은 소년의 잔인무도한 강도 행각과 함께 평범한 일상 속에서 튀어나온 망령이 '경, 심, 령, 효, 수'라는 인물들을 따라다니며 기괴한 행동과 범죄를 이어가게 하는 가운데, 이들은 '불의 혀'라는 사인으로 우리 세기의 '괴물'로서의 인증을 해 보인다. 악의 경계도 범주도 없는 '우리의 세기', 2016년 오늘, 다른 누구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가 여기에 펼쳐진다.
오늘날 우리는 각종 '악'을 마주하며 살고 있다.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테러, 혐오 범죄, 권력형 비리, 지위를 앞세운 성범죄 등 약자를 향한 범죄에 우리 시대의 모두가 몸서리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범죄 앞에서 우리는 무엇보다 그 실체와 대상이 불분명할 때 더 큰 두려움을 느낀다.
이 책에서는 모두 우리 사회 공동체 안에서 공통된 경험을 하며 살아온 사람들이 어느 날 도처에서 각자의 타깃을 향해 테러를 저지른다. 서로 간에 원한도 선과 악의 경계도 불분명하다. 눈에 안 보이고, 실체가 없고, 뭔가 있는 것 같기도 하지만 잡히지 않는 말 그대로 호러에 가까운 악의 현현. 이성이나 과학 같은 근대성으로도 파악할 수 없는 어떤 것. 소설의 중심축이 되는 모비는 그렇게 만들어진 '안티크라이스트'이다. 작가는 이러한 악의 모티프가 코스모스의 질서가 아닌 카오스의 질서에서 살아가는 '현대성'의 표현이며, 이것은 '헬조선'이라는 삶의 조건일 수도 있고 더 근본적인 무언가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현대'라는 조건에서 더 이상 장발장은 없다. 다만 우리 안에 '악'의 조건이 있을 뿐이다. 내가 언제든지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공포의 세기』가 전하는 또 하나의 공포다.
이번 소설 공포의 세기의 가장 강렬한 충격은 등장인물들 간의 연결 고리라 할 수 있는 '불의 혀' 모티프에서 느낄 수 있다. 모비에서 번지는 폭력 에너지는 '경, 심, 령, 효, 수'라는 인물을 통해 각자의 개연성과 원초적 기억을 바탕으로 발산된다. 모비를 지배하는 영적인 기운이나 '경, 심, 령, 효, 수'를 움직이는 망령은 통제 불가능한 방식으로 우리의 땅에 피를 뿌린다. 무엇으로도 통제 불가능한 정신적 묵시록의 세계에서 백민석만의 '충격' 문법은 지금을 대변하는 소설 문학의 정수를 느끼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최근 대한민국이 '국정 농단 사태'로 분노와 공포에 휩싸여 있다. 공포는 사람을 두려움에 떨게 할 뿐만 아니라 종국에는 두려움에 지쳐 무기력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것은 공포 이후의 공포다. “그의 삶 자체가 하나의 실체 없는 음모일 수 있었다”고 말하는 이 소설은 문학이 어떻게 '현재'에 대한 은유가 될 수 있는지를 여실하게 보여준다. 세상에는 분명한 악이 있지만 또한 구분이 불분명한 선과 악이 혼재하며, 권력과 재력 앞에 무너진 사람들을 보면서 우리 안의 누구든 내 안의 무엇이든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아 들게 한다.
절망적인 함성이 광장 전체를 집어삼키고 있지만 우리는 이 절망과 공포를 어떻게 사유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이것이 현재의 국가 사태와 공포의 세기가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이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