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게용 원자력안전기술원장 |
급발진, 급정지, 급가속 등을 지양하고 한 템포 느리게 운전함으로써 연료를 절감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운전법을 에코 드라이빙(Eco driving)이라고 한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에코드라이브 체험교육을 받은 서울시 버스운전자에 대한 교육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45% 감소했으며 중상 이상의 부상자는 58% 줄어들었다고 한다.
습관은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이나 학습된 행위가 되풀이되어 생기는 비교적 고정된 반응 양식을 말한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조지프 핼리넌은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에서 의료과실의 원인을 분석하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이 실수를 하는 이유를 자신이 바라는 것만 보는 편향성, 근거 없는 자신감으로 충만한 자기 과신, 멀티태스킹의 신화에 사로잡혀 집중력을 잃고 마는 경향 등 나쁜 습관이 실수를 부른다고 했다.
습관과 관행이 안전문제와 직결돼 있다면 개인과 개별 조직의 문제에서 사회 문제로 확장된다. 안전문화는 개인은 나쁜 습관을 버리고 착한 습관을 핵심습관으로 삼아 생활화 하는 것이며, 조직은 착한 관행을 시스템화 하는 것이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우리나라 원자력과 방사선의 안전규제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최근 규제기관의 안전문화에 대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드러난 일본 규제기관의 안전신화, 규제포획, 관료주의 성향, 자기 합리화 등의 문제점을 반영한 안전문화 원칙도 설정했다. 경영시스템으로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을 관장하는 안전문화를 보장하고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안전과 관련된 습관, 즉 안전문화는 우리의 운명을 바꾸기도 한다.
산악회원을 태운 관광버스 사고를 키운 것은 안전벨트 미착용이라는 나쁜 습관이었다. 그러나 지난 9월 부산 기장군의 곰내터널 안에서 유치원 버스가 넘어지는 사고에도 21명의 어린이 중 단 2명만이 가벼운 찰과상을 입는 경미한 사고로 만든 것은 안전벨트 착용이라는 착한 습관 때문이었다. 습관은 선택의 퇴적물이기에 나쁜 습관을 고치는 것이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나쁜 습관과 관행의 고리를 알아내고, 고쳐 착한 습관의 안전문화를 만드는 것은 그만큼 인내가 필요한 작업이지만 결코 늦추거나 멈출 사안이 아니다. 안전한 사회, 그것은 개인의 착한 습관, 조직의 착한 관행, 국가의 착한 정책과 착한 규제의 교집합 안에서 공고해질 것이다.
성게용 원자력안전기술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