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질조사 수준만으로는 원인 파악, 예측 불가능
“지진 원인, 에너지 축적도, 예측 위해 단층연구 필수”
올해 충남지역에서만 내륙 지진이 네 차례 발생했지만 기존 지질조사 자료만으로는 지진의 위험성은 물론 원인이 되는 단층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밤 9시 52분께 보령시 북북동쪽 4km 떨어진 내륙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1978년 기상청 관측 이래 보령 내륙에서 규모 3.0이 넘는 지진이 발생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충남에서는 올해 2월 11일 금산군에서 규모 3.1 지진, 3월 2일 공주시에서 규모 2.4 지진, 10월 11월 청양에서 규모 2.0 지진이 발생했다.
잇단 충남권 지진에 지역민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지질조사 수준으로는 이번 보령지진의 진앙이 되는 단층도 찾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지질연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ㆍ충청권에 공주단층, 십자가단층, 당진단층, 홍성단층, 의당단층, 예산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선창국 지질연 지진연구센터장은 “이번 보령 지진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알려진 선구조 자료를 비교 했을 때 실질적으로 연관성을 이을 수 있는 단층을 파악하지 못했다”며 “그 진원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층대를 찾을 수는 있어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선 센터장은 이어 “진원지를 정확하기 파악하기 위해선 국내에서의 선구조와 단층 등 다양한 지질조사가 더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번 보령 지진을 북한 원산, 서울을 거쳐 크게는 충남 홍성에까지 이르는 범위에 해당하는 추가령 단층대에 의해 발생했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13일 보령 지진은 추가령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추가령 단층대는 이전에 최근 경주지진에 부각된 양산 단층대처럼 위협이 될 수 있는 단층대이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충청권을 비롯해 국내 단층조사 결과가 부족해 전문가마다 이번 보령 지진에 대해 내놓는 해석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김승섭 충남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정확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공주단층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아직 충청권에서 어떤 단층이 활성단층인지 구분이 잘 돼 있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어 “지진의 원인, 에너지 축적도 등의 지진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선 더 활발한 지질조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