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최초의 을미의병인 유성의병을 비롯해 한말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고, 순국투쟁을 이어간 지역이다.
또 인동과 유성시장 등지에서의 3ㆍ1운동, 대전중학교의 학생운동, 군시제사대전공장에서의 노동운동 등 항일투쟁이 활발히 전개되었던 지역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연재학파의 사상과 민족운동(김상기 충남대 국사학과 교수), 대전인의 해외독립운동(박민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한말 대전지역 계몽운동의 성격과 특징(이계형 국민대 특임교수), 1920~30년대 대전지역 민족운동 전개양상 연구(김형국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라는 세부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김상기 교수는 연재학파 유교지식인들의 민족운동을 밝히고, 항일투쟁을 가능하게 한 정신적 원동력을 규명했다. 연재학파 제2세대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개략적인 정도만 파악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김상기 교수는 송병선과 송병순의 사상적 특성과 민족운동, 이들 문인들의 현실인식과 사상적 특성, 민족운동에 대해서도 밝혔다.
박민영 연구위원은 독립운동 전 기간에 걸쳐 대전 출신으로 국외에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들을 지역별로 모아 그들의 약력을 정리했고, 이를 통해 대전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국외 독립운동의 개략적 실상을 파악하고 한국독립운동에 대전인의 기여도를 규명했다.
이계형 교수는 대전지역의 계몽운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말 대전지역 계몽운동의 성격과 특징을 살피고, 앞으로의 활발한 연구의 기초 제공과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김형국 연구관은 대전지역의 민족운동에 대한 연구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흐름과 시기별 운동의 변화 양상과 특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음을 주목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1920~1930년대 전반기까지 대전지역 민족운동의 흐름을 재구성하고 운동 주체들을 중심으로 1920년대와 1930년대를 문화운동기 사회운동기로 구분하고 그 전개양상과 그 의미를 살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