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진보강 대상건축물 현황(단위:동).(자료제공=김성수 의원실) |
대전 중ㆍ저준위방사성 폐기물 2만 9877드럼
하나로ㆍ고준위폐기물 저장고 등 내진설계 안 돼…. 충청권에도 단층 존재, 안전하지 않아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고준위폐기물저장고, 중저준위 폐기물저장고, 폐수처리시설 등 원자력 안전시설들이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5일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를 정도다.
원자력연 건물 83개 중 내진적용 대상 건물은 52개지만, 내진적용이 된 건물은 24개(46.2%) 뿐이다.
내진 미적용 건물인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에는 방사능 준위가 높은 폐기물 저장고(고준위폐기물저장고)가 포함돼 있다.
원자력연에는 현재 9950드럼(1드럼당 200ℓ)의 방사능 폐기물이 있다. 방사능 준위가 높은 핫셀발생 중준위폐기물 922드럼, 시설운영 및 실험과정에서 발생한 중저준위 6625드럼, 극저준위 폐기물 2403드럼을 나눠 보관 중이다.
폐기물이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저장고에 저장된 대전이 더는 지진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ㆍ충청권에는 공주단층 등 6개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이 중 공주와 십자가 단층은 원자력연에서 각각 20km, 17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2015년부터 정부는 원자력연에 예산 45억원을 지원해 내진설계 기준 미충족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는 내진보강 대상에서 제외됐다.
더불어민주당 문미옥 의원은 “원자력연구원 저장고에 저장된 폐기물은 경주 방폐장으로 가야 하거나 그곳에서도 받아주지 않는 위험한 방사능 폐기물”이라며 “주거 밀집지역의 내진설계조차 되지 않은 건물에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앞서 같은 당 이상민 의원은 “대전에는 방폐물을 비롯해 원자력 관련 시설이 밀집해 있는 만큼 국내 동남부 원자력발전소와 버금가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전은 현재 전국 2위 방폐물 보유량을 기록하는 도시로, 원자력연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전원자력연료 등이 보유하고 있는 중ㆍ저준위방사성 폐기물은 작년 기준 2만 9877드럼이다. 이 외에도 사용후핵연료도 4t 가까이 보관돼 있어 전국에서 방폐물을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하고 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 대전지역 방사성폐기물 현황.(자료제공=이상민 의원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