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마다 달랐던 학생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이 전면 개선될 전망이다.
대입시에서 수시 전형이 크게 확대되면서 학생부 비중이 커졌지만 그동안 학교와 교사마다 기재 내용과 수준이 달라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이 제기돼 왔었다.
교육부는 최근 장학관, 교육연구사,교육전문직 등으로 구성된 ‘교수학습평가지원팀’운영에 들어갔다.
교수학습평가지원팀은 그동안의 우수사례를 분석해 대입시에서 점차 비중이 커지고 있는 학생 평가와 학생부 기재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2017학년도 4년제 대학 수시모집은 70.5%로 이 가운데 학생부 전형은 85.8%다.
학생부교과는 56.3%, 학생부 종합전형은 29.5%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대입시에서 학생부가 중요해지고 있지만 학생부 평가를 서술형으로 기재하다 보니 일반고가 특수목적고나 자율형 사립고에 비해 다소 불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었다.
무엇보다 학생부 종합전형을 평가하는 대학의 입학사정관이 크게 적은 상황에서 학생부마저 복불복이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자기소개서 작성 등 사교육 의존 비율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이 최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대학별 입학사정관 현황’ 에서도 입학사정관 1명이 평가해야 하는 학생 수는 평균 58명이다.
여기에 서울지역 17개 주요 대학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균 경쟁률은 12대 1로 사정관 한 사람이 평균 700여명을 평가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효과적인 학생부 기술 방식과 그동안 우수사례로 꼽힌 학생부기재 모델을 일선 학교에 제시하고, 학생부 기재 요령에 대한 교사 연수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교대와 사대 등에서 과정 중심의 평가를 확대하는 등 교원양성단계에서부터 학생부 기재 요령을 배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사마다 다른 학생부 기재 방식이 개선되면 그동안 복불복 학생부라는 불만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평가 방식과 기재 방식에 대한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