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땅속 300m 깊이까지 구리, 금, 은과 같은 금속광상을 찾아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금속광체 분포와 매장량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광대역 유도분극 정밀탐광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광대역 유도분극탐사(SIP)는 금속광상의 정밀탐사와 광화대 평가 활용할 수 있는 탐사기술이다.
기존 유도분극탐사(IP)는 지하에 전류를 흘려보내 땅속 매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양극이 생기는 분극현상을 유도해 지하구조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분극현상을 강하게 일으키는 황화광물을 포함한 금속광상 탐사에 사용되고 있지만, 현장에서 고출력 직류 전류(10A 이상)를 흘리기 어렵고 잡음에 취약해 양질의 자료를 획득할 수 없었다.
그러나 광대역 유도분극탐사는 교류 전류를 흘려보내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0.1∼1kHz)에 대한 진폭과 위상차를 측정해 지하구조를 파악한다. 또 황화광물을 포함한 금속광상의 광종과 분포까지 해석할 수 있어 광화대를 더욱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다. 탐사는 깊이 300m까지 가능하다.
지금까지 광대역 유도분극탐사 기술을 실제 탐광에 적용해 성공한적은 없었다. 기술의 핵심인 해석 알고리즘 개발, 탐사자료의 해석 소프트웨어도 상용화되지 않았다.
손정술 지질연 탐사개발연구실 박사가 개발한 광대역 유도분극탐사 역해석 기술을 ㈜희송지오텍이 상용화 소프트웨어로 개발해 골든썬㈜ 광상탐사에 적용해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지질연은 지난해 희송지오텍에게 광대역 유도분극탐사 정밀탐광 해석기술을 이전하고, 상용화했다.
지질연과 희송지오텍은 골든썬에서 운영하는 해남 모이산 광구와 가사도 광구 등 천열수 금광상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금광맥을 발견했다. 채광 가능한 금광석 매장량 약 21만1238톤(금 627.5kg)을 확보해 개발 중이다.
김규한 지질연 원장은 “이번 자원탐사 신기술 개발은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큰 성과”라며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광물 탐사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을 진보시킨 만큼 세계 자원기술 시장에서도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