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날씨도 그렇다. 열대야가 계속된다고는 하지만 새벽이면 찬바람을 느낄 수 있다. 이 때쯤 되면 태풍이 비를 몰고 오기도 하는데, 그럴 기미가 전연 보이지 않고 있다.
찬바람이 난다 해도 비가 오지 않으니 큰 걱정이다. 중간 중간에 내려 더위를 식혀주던 소나기가 오는 일도 드물어 졌다. 더위는 그런대로 견딘다 하지만 가뭄은 견디기가 힘들다. 강한더위와 같이하는 가뭄은 그야말로 재난에 가깝다. 모든 짐승과 풀과 나무들이 풀이 죽어 있다. 타들어 가는 밭작물들을 보면 안쓰럽다 못해 마음이 아프다.
냇가에도 물이마르고 고인물도 없어 물을 주려야 줄 수도 없다. 끝없는 가뭄에도 계속 솟아나는 샘물이 그립다. 샘물은 땅속에 흐르는 물줄기가 자연스럽게 터져나온 물이다. 이 샘물은 큰 강을 이루는 뿌리가 되고 큰 강들은 주변의 모든 물을 모아 바다로 이끈다. 샘물은 사람뿐만 아니라 마을 공동체의 생명줄이었다.
요즈음은 상, 하수도 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샘물을 잊고 살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샘물이 없이는 살아갈 수 없었다. 샘물은 마을을 끼고 있는 높은 산속에 자리잡고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집집마다 물동이나 물지게를 준비하여 산속으로 올라가 샘물을 길어다 먹곤 하였다. 어떤 경우에는 땅속 물줄기를 찾아 마을에 공동우물을 파서 물을 얻어 쓰곤하였다. 이 우물 역시 샘이라 하였고 샘물이라 하였다.
마을의 생김새가 배를 닮은 곳에서는 절대로 땅을 파서 물을 얻으면 안되었다. 배 밑바닥이 뚫리면 배가 가라앉듯이 마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믿음이 있었다. 자연 샘물이 아무리 먼 산속에 있다 할지라도 반드시 그곳에서 길어다 먹어야만 하였다. 가뭄이 계속되면 이 샘물에 기우제를 올리기도 하였다. 기우제가 아니더라도 특정한 날에 샘물이 마르지 않도록 정성을 다하여 제사를 올리기도 했다.
흔히 샘이라 부르는 마을의 공동 우물을 마을사람들이 모두모여 청소를 하기도 하였다. 마을 우물은 빨래터 등으로 쓰는 얕은 우물도 있었지만 도르레에 달린 두레박으로 물을 퍼야 할 정도로 깊은 우물도 있었다. 이 깊은 우물을 청소할때는 도르레줄을 타고 내려가 우물벽은 물론 밑바닥까지 깨끗하게 청소하였다. 청소하는 마을어른이 혹시 그속에 갖히는 것이 아닌지 모든 이들은 마음졸이며 지켜보곤 하였다. 샘물은 이렇듯 생명줄이면서 신성한 상징물이었다.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시설창조관리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