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재료비 6만원으로 만든 자작 에어컨 과연 시원할까?

  • 문화
  • 온라인 핫이슈

[영상]재료비 6만원으로 만든 자작 에어컨 과연 시원할까?

  • 승인 2016-07-25 15:57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3전국에 30도를 넘나드는 살인적인 폭염이 계속되면서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유튜브에 소개되고 있다. 아이디 ‘we 별’이라는 이름을 가진 BJ는 기존의 선풍기에 냉매가 흐르는 구리재질의 파이프 둘러싸 온도를 낮추는 방식을 선택했다. 냉매는 아이스박스에 수중 모터를 달고 물을 넣은 다음 고무호스로 공급하도록 했다.

일단 에어컨으로 온도를 낮추는 시도에 대해선 성공했다. 에어컨 작동 결과 실제로 실내 온도는 조금씩 내려갔다. 단 문제점은 곳곳에서 발생했다. 실내 온도와의 차이로 인해 파이프에 물이 생겨 합선의 위험이 발생했고 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얼음물이 수시로 필요하다는 불편사항도 드러났다.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영상을 접한 네티즌들은 “생각만 했는데 좋은 경험했네요”,“아쉽지만 재미있네요”,“도전 정신이 좋았어요”등 성능 평가를 떠나 참신했던 시도 자체에 대해 찬사를 보냈다.

[영상보기]6만원으로 에어컨 만들기 과연 시원할까? -1편-


[영상보기]6만원으로 에어컨 만들기 본격 성능테스트 -2편-



▲ 유튜브 we 별
▲ 유튜브 we 별


영상:유튜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2. 성락종합사회복지관 개관 33주년 맞이 상생포럼 ‘재개발 속 주민복지, 공존을 그리다’
  3. [인터뷰]제14대 충남대 명예교수회 회장 취임한 임용표 명예교수
  4. 2025년 한밭 대덕 어르신 재해예방협의회 간담회
  5. 한화이글스, 만원 관중 속 홈 개막전서 7-2 대역전승
  1. 법동종합사회복지관, 제2회 효 나눔 잔치
  2. 어려운 이웃들에게 따뜻한 한끼 도시락 키트 200개 전달
  3. 한화이글스 홈 첫승! 이순간이 최고 절정의 순간 분위기 살려 새응원가 발표! 이 응원가 어때요?
  4.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 역전의 순간! 볼4개 몸에 맞는볼 치어리더들도 뒤집혀
  5. 홈 개막전 승리 한화이글스 폰세 '나는 동료들을 믿었다' 승리 인터뷰(무편집)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매년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충청권 산불 진화 전문인력 운영 체계와 처우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대는 단기 일자리로 고용돼 60대 이상 노인이 대부분이라 전문 정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공무직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수당조차 받지 못해 정부 차원에서 인력과 예산 지원에 대한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법적으로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진화 인력으로 각 지자체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 중이다. 현재 대전에서는 71명, 충남은 6..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에 전세 세입자 비율이 감소한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주거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도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에 따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와 자가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속보>=40년 전 사용을 마친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지금까지 침출수가 유출되면서 나머지 비위생매립장에 대한 실태조사가 요구된다. 사용 완료 매립장 중에 지자체는 국유지에 있는 2곳만 침출수와 매립가스를 관리하는 중으로 대다수 매립장은 침출수 처리공정과 차수막도 없이 그대로 묻혀 있는 실정이다. <중도일보 3월 25일자 3면, 26일자 1면, 27일자 6면 보도>대전 서구 봉곡동의 1985년 매립을 완료한 비위생매립장에서 침출수가 현재까지 유출되는 게 확인된 가운데 중도일보가 추가로 확인한 사용완료 매립장 3곳에서도 오염을 예방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