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쇠퇴한 구도심을 전면 철거 재개발 방식으로 개발한 지자체들은 주민 공동체를 피하고 골목길이나 시장 같은 도시문화공간을 없애 도시 정체성을 악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현상들이 지속되면서 전국적으로 쇠퇴한 도심에 경제·사회·문화적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 바람이 불고있다.
최근에는 도시의 과거 흔적과 주민 커뮤니티를 보존하면서 '재생'하는 정책적 지원과 연구 등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와 도시계획, 도시의 쇠퇴에 관심을 기울인 도시학자 제인 제이콥스는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의 저서를 통해 “인간적인 매력을 갖춘 도시는 무엇보다도 사람들이 걷는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이 가진 자원과 사람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를 생활환경에 맞춰 재배치할 때 진정한 의미의 지역재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낡거나 못쓰게 된 물건은 가공해 다시 쓰듯 도시새쟁은 구도심을 고쳐서 다시 기능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그러나 다양한 도시의 형태와 모습이 보여주듯 도시재생을 왜 해야 하는 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정답과 해법을 찾기엔 쉽지 않다.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의 성공의 길은 무엇인지 해답을 찾고자 한다.
▲대전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도시재생이란 인구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부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으로 활용을 통해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대전시는 지난 1월 국토교통부의 2016년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향후 6년 동안 국비 250억 원을 지원받고 시비 250억 원을 매칭해 500억 원 규모로 원도심 일원에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업인 '중앙로 프로젝트' 마중물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사업은 대전역세권 개발과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을 거점으로 두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로와 그 일대를 재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우선적으로 원도심 활성화의 기본 요건인 걷기 좋은 도시(Walkable city) 및 잘 찾을 수 있는 도시(Legible City)를 구현하기 위해 중앙로 주변의 보행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도시재생을 위해 산업단지권, 원도심권, 계백로권, 특별지역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20개 지역을 선정 , 지역별 재생 전략 계획도 수립중에 있다.
인구감소, 사업이탈, 건출물 노후도 등 3개 지표를 통해 분석과 필요성을 종합 고려해 사회·문화·경제 등 종합적 도시재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보행자 중심의 도시재생 첫 걸음, 차없는 거리=대전의 원도심은 신도심 지역에 모든 것을 내어주고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지역의 버팀목이었던 시청과 지방법원, 지방검찰청 등이 빠져나간 원도심 일대는 심각한 공동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통행과 도로개설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보행자를 위한 공간·시설은 열악해 졌고 도시가 커질수록 오히려 시민들의 생활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해 원도심 활성화 첫 카드로 '차 없는 거리'를 선택했다. 지난 1932년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80여 년간 자동차 중심으로 운영된 중앙로를 도심투어, 휴식, 쇼핑 등 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해 신도심과 차별화된 원도심만의 강점을 살리기 위해서다.
현재 미래도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걷기좋은 도시'로 보행·가로환경을 최적화 시킨다는 의미를 담았다.
즉, 시민들이 지역의 특성·역사·기능에 최적화된 도심을 편하게 걸으며 여유롭게 도시의 멋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시작 전부터 인근 상인과 주민들을 중심으로 교통체증, 상권 침체 등에 대한 반대가 만만치 않았다.
상인들은 매출 하락 등을 이유로, 주민들은 내 집 앞에 차를 세우던 '편리한' 습관을 버리고 불편을 감수하라는 통행제한 조치를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결국 시가 진행한 '차없는 거리'는 최근 세계적인 트렌드인 보행자 중심의 도시정책 전환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지만 걷는 주체인 시민이 '걷고 싶은 거리'가 무엇인 지, 어떤 점에서 보행에 불편을 겪는 지를 이해시키기엔 역부족이 었던 것이다.
앞으로 차없는 거리 행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들도 산적하다.
시가 원도심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중인'중앙로 차없는 거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방적인 관주도 행사보다는 시민들 참여의 장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주변 교통혼잡이나 접근성 불편, 주차장 문제 등의 교통문제와 차량이용 손님 감소로 매출저하를 우려한 상인들의 반발, 지역 이해관계 기관과의 문제, 노점상 정비, 유관기관과의 협의 등이 풀어야 할 숙제로 손꼽힌다.
▲주민이 참여해 도시기능 회복 필요=대전은 대전형 도시재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해 왔으며, 이런 노력들은 현재에도 진행 중이다.
이 같은 도시재생 모델 구축의 중심에 있는 곳이 바로 도시재생지원센터다.
도시재생 관련 시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시민 정례간담회', '찾아가는 도시재생 상담센터', '도시재생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근대문화유산과 지역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원도심을 재생하는 '근대문화예술특구'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참신한 콘텐츠를 시민이 직접 발굴하는 '대전 도시재생 콘텐츠 공모전'과 지역 자원을 체계적으로 조사해 활용하기 위한 '마을자원 조사ㆍ발굴사업'도 도시재생 기반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옛 제일극장거리 활성화를 위한 '케미스트리트 조성사업'은 민과 관의 협의체를 중심으로 상생전략을 도모하는 본보기로 주목받고 있으며 노후불량주택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마을공동체를 회복하는 '소규모 주거정비사업' 또한 주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