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관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장 |
사실상 혈액과 임파계의 암(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임파종)을 포함한 모든 암은 전이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혈액 혹은 임파계의 암 역시 폐, 심장, 중추신경계 그리고 다른 조직이나 장기에 전이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암의 종류와 관계없이 가장 빈번하게 전이하는 장기는 간, 폐, 뼈 등 이다. 비록 모든 암은 신체의 여러 장기에 모두 전이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장기에 먼저 전이된 후 다른 장기에 전이하는 경향이 있다.
암 전이 통로는 혈관, 임파관, 직접 침투 등 3가지 루트가 있다. 암세포가 전이하는 통로로 사용하는 수단은 주로 혈관과 임파관 그리고 주위 조직 직접 침투 등 3가지이다. 첫째, 혈관을 통해서는 주로 뇌, 간, 폐, 뼈 등으로 전이하고, 둘째로 임파관을 통해서는 임파절 내로 전이하며, 셋째, 직접 침투하는 방식으로는 주위에 있는 조직에 직접적으로 침범하는 전이를 한다.
또한 암 전이과정은 복잡하면서도 여러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이런 복잡한 과정을 모두 성공적으로 통과해야만 전이암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하나하나 차단함으로서 전이를 막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전이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암세포들은 우선 주위의 정상조직을 침투해 들어간다. 다음에는 임파관이나 혈관 속으로 침투해서 먼 전이의 여정을 시작하게 된다. 혈관 혹은 임파관 속으로 들어간 암세포들은 전신을 돌아다니면서 그곳에서 살아남아서 자기가 가고자 하는 장기를 찾게 된다. 돌아다니던 암세포는 적당한 장소를 찾으면 새로운 전이 장소로 가기 위해 그 동안의 여행을 마치고 혈관에 부착해서 그 혈관을 뚫고 자기가 원하는 장기 가까이 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적당한 장소에 자리를 잡은 암세포들은 자체 증식을 통해 '미세 전이암'이라고 하는 작은 둥지를 틀게 된다. 둥지를 튼 작은 규모의 미세 전이암은 자체 혈관을 만들어 영양공급을 받아서 스스로 성장한다. 각기 다른 장기에서 성장한 암세포는 결국 CT나 MRI에서 발견될 만큼 자라 전이암으로 판정 받게 된다.
전이암이 있다고 해도 초기에는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전이암은 다만 일반 X선 검사나 CT MRI에서 발견될 뿐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이암 관련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전이암의 크기나 장소에 따라 본인이 스스로 느낄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뼈로 전이하면 통증이 올 수 있고, 골절이 올 수도 있다. 만약 뇌로 전이했다면, 두통, 간질,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숨이 찬 증상이 생기면 폐 전이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복부가 팽창하고 황달이 왔다면 간 전이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어떤 경우는 전이암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증상 때문에 원발암을 발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립선암의 경우 골반 뼈에 전이되면 요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검사 도중 전립선암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암세포가 스스로 살아남고 증식해서 다른 곳으로 전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주위 환경의 도움이 필요하다. 암세포의 성장 전이에 관여하는 요소들로는 암세포 변신, 기저막 파괴 및 침투, 분열증식, 혈관 임파관 형성, 염증환경 조성, 면역 회피, 면역력 저하 등 각종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전이암을 만들어 간다. 암세포는 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변신하면서 주위 환경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변화시켜 나간다. 따라서 암세포의 성장 전이를 막기 위해서는 암 주위 미세환경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서 암세포가 성장 전이하는데 부적합한 환경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