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윤주헌ㆍ유지환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몸속 단백질 중 하나인 ‘세스트린2’가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패혈증은 치료가 어려운 면역질환으로 사람의 혈관에 미생물이나 미생물 독소가 들어가 온몸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하면 염증반응으로 장기가 손상되고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연구팀은 몸속에 세스트린2가 없는 돌연변이 쥐와 세스트린2가 있는 정상 쥐를 가지고 실험했다.
그 두 쥐에게 패혈증을 일으킨 후, 생체반응을 각각 비교하자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낮추는 메커니즘도 밝혔다.
연구팀은 세스트린2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을 줄여준다고 설명했다.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신호는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안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으로 세포 속 발전소라고 불린다.
미생물이 침입하면, 미토콘드리아는 손상되고 이어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없어진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가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다면 면역반응은 더 강하게 일어난다.
이때 세스트린2는 면역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제거한다.
세스트린2는 대사 질환, 퇴행성 신경 질환, 암 등 각종 질환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아직까지 패혈증 같은 염증 질환에서 알려진 역할은 전무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낮춰, 패혈증을 비롯한 각종 염증 질환의 치료법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은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패혈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패혈증에서 나아가 노인성 질환 등의 질병 치료법을 개발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난 달 23일 ‘오토파지(Autophagy)’에 실렸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