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개 응급권역, 74개 농어촌 응급실 확대 시행
지난 2015년 7월 2일 오전 11시46분. 극심한 가슴통증을 호소하며 충남 농촌지역의 응급실을 찾은 A씨는 심전도 이상소견과 심근효소 상승반응을 보였다.
A씨를 진료하는 의사는 심장내과 전문의가 아니고 치료경험이 충분치않아 적절한 처치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 의사는 충남 도내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응급원격협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응급협진 콜을 보냈다. 응급의료센터의 전문의는 환자 A씨를 심근경색으로 진단하고 약을 처방한 뒤 즉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도록 했다. 환자가 이송되는 동안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는 응급 심혈관팀을 가동해 대기하다 환자 도착 즉시 관상동맥시술을 했고 이 환자는 이틀만에 퇴원했다.
정부가 농어촌 응급환자 진료를 위해 도입한‘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네트워크’사업을 대전ㆍ충남권 권역센터들이 외면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전국에 7개 응급권역, 32개 농어촌 응급실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던 것으로 7월 1일부터는 전국 11개 응급권역, 74개 농어촌 응급실로 확대 시행키로 했다.
하지만 대전과 충남지역의 취약지에서는 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지난해 정부가 전국의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참여기관 신청을 받았으나 충청권에선 충북대병원만 신청했을 뿐 충남과 대전은 한 곳도 신청하지 않았다.
대전은 충남대병원과 건양대병원이, 충남은 천안 단국대병원이 각각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돼 있다.
정부는 협진시스템에 대한 수가를 적용해 전액 국비로 지급하고 있다. 협진을 위한 하드웨어 설치 비용도 지원하고 있다.
이 응급의료 원격협진은 농어촌 응급실 의사가 대도시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와 원격으로 협진해 진료에 활용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농어촌에서 응급환자가 응급실을 찾으면 의사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를 원격으로 호출하고 CT 등 영상, 음성, 진료기록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 응급환자를 진료하게 된다.
이 사업으로 농어촌 응급환자는 대도시까지 이송되지 않고도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의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시범 실시한 1차사업에서는 총 205건의 원격협진이 이뤄졌다. 만족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82.4%가 환자의 진료과정에 도움이 됐고 70.6%는 환자의 응급실 재실시간 단축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의료진은 환자가 도착하기 전 검사결과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환자 대응이 빨라져 치료 시간이 단축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관계자는 “사업참여 병원의 신청을 받았으나 대전ㆍ충남은 신청을 하지 않았다. 올해 2차로 추가 신청을 받을 예정인만큼 그때는 동참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