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공원 조성 사업은 2013년 처음 기본계획이 수립됐다. 이후 장남평야 일대에 멸종위기 2급 보호종인 금개구리 집단서식지가 발견되면서 2015년 3월 서식지 보호를 위해 수정계획이 만들어졌다.
▲중앙공원 바로만들기시민모임=그러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신도시 일부 입주민을 중심으로 수정계획안에 이의를 제기한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앙공원 바로만들기시민모임(시민모임)이다.
중앙공원 조성사업 기본계획에 이어 수정계획이 수립될 때까지 신도시 인구는 2만2000명 수준이었다. 하지만, 수정계획 수립 직후인 2015년 7월쯤에는 아파트 입주가 쇄도하면서 9만4000명에 육박했고, 6월 현재 13만4396명으로 급증했다. 그만큼, 신도시 입주민들의 입김이 커졌다는 얘기다.
시민모임의 요구 사항은 한 마디로 논 습지로 보존하려는 금개구리 서식지를 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것이다. 논을 없애고 그 자리를 시민공간으로 활용하자는 취지다. 신도시 입주민들이 토지 조성원가를 부담한 만큼, 입주민 원하는 중앙공원을 만들고 천연습지가 보존된 합강리 생태공원을 대체 서식지로 조성해 금개구리를 이주, 보호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22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생태협은 생태공원 내 금개구리 서식지인 논을 보존하다는 입장이다.
생태협은 환경부가 의뢰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마련한 ‘환경영향평가 시 주요 생물종에 대한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금개구리 서식과 산란지로 논 습지가 적당하고, 동면 장소로도 논둑과 습원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장남 들판의 생태계는 전월산과 원수산, 합강습지와 함께 세종의 생태자산인 만큼, 그대로 남겨두자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사업주체인 행복청과 LH도 마찬가지다.
생태협은 ▲수천 년 이어온 장남평야의 역사적 가치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생태적 가치 ▲유기농 쌀생산과 오염물질 정화, 지구온난화 방지 등의 환경적 가치 ▲세계 유일의 생태습지공원 조성 등의 문화적 가치 ▲자연학습과 체험의 교육적 가치 등의 자산을 강조하고 있다.
▲다자협의체 해법 주목=다자협의체에 앞서 세종시와 행복청, LH, 시민모임, 생태협이 참여하는 5자 협의체가 가동되고 있었다. 하지만, 평행선을 달리자 최근 5자에다 환경부(금강유역환경청)와 전문가그룹까지 참여하는 다자협의체 필요성이 제기됐다.
시민모임과 생태협을 비롯해 세종시와 행복청, LH 모두 다자협의체 구성에 공감하고 있다.
신도시 입주자대표회의 회장단으로 구성된 입주자대표협의회까지 가세한 시민모임 측은 ‘논 없는 중앙공원 2단계 조성방안을 논의하지 않는 다자협의체는 의미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의 참여는 원하고 있다.
박남규 시민모임 대표는 “큰 틀에서는 다자협의체 구성에 동감하지만, 아직 내부적으로 별다른 진전이 안됐다”며 “참여 요청 공문이 도착하면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태협은 다자협의체의 언론 공개를 요청했다.
김지훈 생태협 사무처장은 “다자협의체 참석자 명단은 제출했다”며 “협의체 전 과정과 결과를 언론에 공개하고, 언론을 통해 시민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한 만큼 받아들여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복청 관계자는 “시민모임 참여자 명단을 받으면 당장 협의체 구성에 들어갈 것”이라며 “첨예한 갈등이 있는 만큼,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중앙공원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