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수요에 맞춰 대학의 정원조정과 학사 구조를 개편하는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프라임)’에 건양대, 상명대(천안 이상 소형)와 순천향대(대형) 등 21개교가 최종 선정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일 대형 유형에 수도권 3개교, 비수도권 6개교 등 총 9개교, 소형 유형은 5개 권역별로 2~3개교 씩 총 12개교의 프라임 사업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연간 150억원 내외를 지원받는 대형은 충청권 순천향대를 비롯해 건국대, 경운대, 동의대, 숙명여대, 영남대, 원광대, 인제대, 한양대(에리카) 등이 선정됐다.
연간 50억원 내외를 지원하는 소형에는 충청권에서 건양대와 상명대(천안) 등 2개 대학이 선정됐으며 ▲수도권 성신여대, 이화여대 ▲대경ㆍ강원권 경북대, 대구한의대, 한동대 ▲동남권 동명대, 신라대 ▲호남ㆍ제주권 군산대, 동신대, 호남대 등이 각각 선정됐다.
전체 21개교중 사립대는 19개교, 국립대는 2개교다.
관심을 모았던 300억원 지원 대학은 선정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300억원을 지원받을 정도의 큰 규모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획을 가진 대학이 없고, 300억원을 신청한 대학도 없어 선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21개교의 정원 이동 규모는 총 5351명으로, 이들 대학의 전체 입학정원인 4만8805명의 약 11%에 해당하는 규모다.
대형은 평균 378명(입학정원 대비 13.7%)이 이동하며 소형은 평균 162명(입학정원 대비 8.1%)이 이동한다.
사업계획서 제출 단계에서부터 요구했던 ‘구성원간 합의’ 부분의 경우 대형 유형은 평균 7.8개월, 소형은 5.9개월이 소요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대형 5개교, 소형 11개교 등 총 16개교가 도전했던 충청권의 경우 최종선정결과를 놓고 그 어느지역보다 충격이 큰 모습이다.
코어사업에 이어 프라임사업까지 대전권 대학들의 참패로 끝나면서 지역대 위기론도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역대 관계자는 “지역구성원들과 협의를 통해 앞으로 자체적인 자구책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학과 개편 등의 혁신안도 그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