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다태아 증가하지만...지역 신생아 집중치료실 부족
#사례1= 튼튼이는 아빠 엄마에게 4년 만에 찾아온 첫 아이의 태명이었다. 임신 30주 무렵, 엄마에게 ‘임신중독증’이 찾아왔다. 게다가 전치태반으로 자연분만조차 불가능한 상태였다.
그러나 문제는 ‘벤틸레이터(산소호흡기)’에 있었다. 자가 호흡이 어려운 튼튼이는 태어나자마자 벤틸레이터에 의지해야 했지만, 다니던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의 벤틸레이터가 모두 사용 중이었다.
의료진들은 전국 각지에 있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전화를 걸기 시작했고, 한 시간여 만에 튼튼이를 받아줄 수 있는 병원을 찾았다. 응급수술에 들어간 엄마와 튼튼이. 모두가 무사하길 바랐건만, 얼마 뒤 수술실에서 슬픔의 눈물이 새어나왔다. 튼튼이가 아빠 엄마에게 눈인사도 하지 못한 채 하늘나라로 떠나고 말았다.
만일 처음 찾았던 병원에 여유 병상만 있었다면, 튼튼이는 무사히 아빠 엄마 품에 안길 수 있었을까?
#사례2= 충남 논산에 거주하던 노총각 김 씨는 2년 전 필리핀 여성과 결혼, 다문화가정을 이루었다. 김 씨 부부에게 어느 날 쌍태아라는 두 배의 기쁨이 찾아왔다.
그러나 임신 32주차 무렵, 조기진통이 찾아왔다. 자궁이 과하게 팽창되면서 진통이 온 것이다. 곧바로 분만을 시도해야 했지만 해당 병원에서는 진행할 수 없다고 했다.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벤틸레이터가 딱 하나 뿐이었기 때문이다.
두 아이 모두에게 필요했던 장비인지라 김 씨 부부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의료진은 곧장 다른 병원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다행히 40분 거리의 천안의 한 병원에 여분이 있었고, 쌍둥이들은 건강하게 세상의 빛을 볼 수 있었다.
고령산모와 조산산모가 늘어나면서 미숙아가 늘고 있지만, 고위험 아이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공간 부족은 여전하다.
대전의 경우 현재 신생아 집중치료실이 충남대학교 병원에 34개 병상, 을지대병원 30개병상, 건양대병원 24개 병상, 성모 4개 병상 등 모두 92개 병상에 불과하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15 신생아집중치료 지역센터 지원사업 안내’ 책자를 보면 권역별 신생아집중치료실 병상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집중치료병상은 1714병상으로 전국적으로 1833병상이 필요하지만 119병상이 부족하다. 대전과 충남 충북 등은 지역환자 흡수율이 100% 미만이어서 환자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구조다.
신생아 중환자실은 병상 회전율과 중환자 입원 수가가 낮지만 전문 의료진은 24시간 가동돼야 하는 구조로 운영할수록 적자가 발생해 지역 병원들이 설치를 꺼리고 있다.
정부가 수가 개선, 병상확충 등 지속적 지원에 나섰고, 지난해에는 지역의 을지대학교병원 등 전국 4개 병원을 선정했다.
을지대병원은 10개 병상을 지원받게 됐으나 7개 병상을 병원측에서 추가로 설치해 모두 30개 병상을 설치했다. 17개 병상을 추가 증원하면서 모두 21명의 전문 의료진을 충원했다.
수가 부족과 고가의 장비, 전문인력 채용 등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대한 지역 병원들의 관심도가 낮아질수밖에 없다.
지역병원 관계자는 “과거보다 신생아집중치료 시설이 늘었다고 하지만, 그만큼 미숙아 숫자도 급증하고 있다. 해마다 5% 이상 미숙아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가 더욱 관심을 갖고 집중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