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수리 대충 맡겼다간 ‘뒤통수’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차량수리 대충 맡겼다간 ‘뒤통수’

  • 승인 2016-03-29 16:51
  • 신문게재 2016-03-29 7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차량 수리 후 재고장, 수리비 과잉청구 등
소비자피해 꾸준해 업체 선정 시 비교해야



#1. A 씨는 차량 주행 중 시동이 꺼져 업체에 수리를 맡기고 115만 원을 지불했다. 하지만 채 하루도 못가 동일한 증상이 발생했다. A 씨는 업체에 재수리를 요구했으나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2. B 씨는 차량의 인젝터 부품이 고장나 정비업체에 수리를 요청했다. 이후 차량을 찾으러 온 그는 수리비를 보고 본인의 눈을 의심했다. 인젝터 탈착 청소만을 의뢰했으나 업체가 임의로 교환한 뒤 수리비 127만 원을 청구했기 때문이다.

자동차 정비 후 수리가 제대로 안되거나 부당 수리비가 청구되는 등 소비자피해가 끊이질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2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동차정비와 관련한 피해구제 신청은 총 738건으로 매년 증가세다.

이 중 수리요청이 확인된 657건을 살펴보면 사고차량 수리 의뢰가 19.8%(130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차체 및 엔진 등 기능장치 부분의 진동·소음 17.0%(112건), 엔진오일 누유·교환 12.0%(79건), 시동 꺼짐·불량 11.3%(74건), 차체외관 등 파손·흠집 7.6%(50건), 냉각수 누수 6.1%(40건), 선팅 4.6%(30건) 순이다.

피해유형은 수리불량이 압도적이었다. 전체 피해구제 신청건수 중 수리불량이 65.4%(483건)를 차지했다. 이 중 재고장은 53.2%(257건)로 집계됐다.

수리를 맡기니 오히려 다른 곳에 파손이 생기는 일도 46.8%(226건)나 발생됐다. 파손유형별로는 정비자의 관리 부주의로 차체외관에 흠집·파손이 42.0%(95건)로 나타났고 엔진고장 23.9%(54건), 소음·진동 8.0%(18건), 오일누유 7.1%(16건), 사고화재 5.8%(13건) 등이다.

수리불량 건수 중 과도한 수리비 청구, 임의수리, 과잉정비 등 부당수리비 청구는 24.4%(180건)이다. 이어 차주동의 없는 임의수리 22.2%(40건), 과잉정비 16.1%(29건), 수리하지 않은 비용 청구 13.9%(25건)로 나타났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정비업체 선정 때 두 군데 이상 견적을 뽑아 비교해야 한다”며 “수리 후 자동차점검·정비명세서를 통해 수리비 내역과 수리상태를 꼼꼼히 확인해 이상이 있을 경우 환급 또는 보증수리를 요청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교육청, 초등생 살해교사 명재완씨 징계 확정… 최고 수준 '파면' 예상
  2.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3.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4.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5.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1.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2.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3. 한국연구재단 사칭해 생명보험 가입 권유? "금융 관련 요구 안해, 피해 주의"
  4.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5. 대전과기대-서구청 라이즈로 동반성장

헤드라인 뉴스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속보>=아파트를 짓던 중 4만t 이상의 폐기물이 발견된 대전의 재건축 현장은 옛 토지개발공사가 건축폐기물을 매립했던 것으로 보인다는 증거보전 감정인의 의견서가 법원에 제출됐다. 콘크리트 폐기물이 일정한 깊이로 고르게 매장되고 흙은 성토된 것을 보았을 때 택지 기반시설 조성 차원의 매립으로 보인다는 것인데 1994년 둔산동 개발 때도 유사한 논란이 있었던 게 확인돼 주목된다.(본보 3월 25일자 3면 등 보도) 8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동구 천동과 가오동에서 노후된 주공 아파트를 철거하고 지상 33층 952세대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