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1= 19일 오전 9시 대전지역 한 병원의 입원실. 이른 시간이지만 면회객들이 우르르 몰려든다. 손에는 환자가 입맛이 없어한다며 평소 좋아했던 김치들과 시골에서 가져온 음식물들이 한가득이다.병원 방송을 통해 면회 시간 안내 방송이 흘러나온다. 문병객 이모씨(62)는 “문병하려고 시골에서 왔다. 면회 시간이 있는지 몰랐다”고 말한다.
#장면2= 감기에 걸린 정모씨는 환자에게 피해가 갈까 병문안을 가지 않았다가 ‘인사도 할 줄 모르는 안화무인(眼下無人)’취급을 받고 깜짝 놀랐다. 정씨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편안히 치료받고 퇴원하길 바라는 마음에 병문안을 안가고 문자만 드렸다가 직장 상사의 눈치가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듣고 관행과 문화는 여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인사치레에 불과한 병문안에 대한 인식은 쉽게 바뀌지 않는것 같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메르스 사태 이후 병문안 개선을 위한 병원들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과거의 관행이 여전하다.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병원들은 병문안 개선을 위한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충남대병원 등 지역의 종합병원들은 하루에 오전 10~12시와 오후 6~8시 등 2차례에 걸쳐 면회시간을 정해놓고 면회를 허용하고 있다. 대전 성모병원은 병실 게시판마다 외부 음식 반입 금지를 비롯한 제한 안내문을 붙이고 전 병동에 하루 2차례씩 면회 안내 방송을 하고 있다. 응급실도 상주 보호자 1명으로 제한하고 있고 안전요원 등을 배치해 이를 관리하고 있다.
건양대병원은 1층에 별도의 면회실을 운영하는가 하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문안 내용을 글로 남기면 환자에게 카드로 만들어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병문안 기준 권고안을 발표한데 이어 상급 의료기관들과 협약을 체결하며 병문안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과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나 간병인이 숙식하며 환자를 돌보는 한국식 병문안 문화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명문안이 곧 인사치레이자 예의로 인식되는 문화 속에서 쉽게 문병 문화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법적으로 강력한 제재가 없고 환자들의 인식 개선에만 의존해야 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역병원 관계자는 “정부에서 권고안을 제시했고 병원측에서도 면회시간을 정해놨지만 강력한 법적 제재 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강력한 통제를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보호자 없는 병원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의지가 있다면 좀더 강력한 방안의 문화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지역 대학병원 관계자는 “위반행위에 따른 법적 제재가 없는데 오신 면회객을 돌려보낼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메르스 사태가 종료된 지 불과 1년이 안됐는데 병문안 분위기는 이전으로 고스란히 돌아간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