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판결로 1990년대부터 금속노조 등 산별노조 중심으로 진행돼 온 노동운동에 일대 변화가 예상되며 노동운동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예견이 나오고 있다.
지난 1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김소영 대법관)는 금속노조 발레오만도 지회장과 조합원 등 4명이 발레오전장 노조를 상대로 낸 '기업노조로 전환한 총회 결의를 무효로 해달라'는 내용에 대해 원고 패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
그동안 단체교섭·협약을 상급단체에 맡기는 지부·지회는 산별노조의 하부조직일 뿐 독립된 노조가 아니어서 조직 전환 권리가 없다는 기존 노동법 해석과 판례를 뒤집은 것이다.
대법원은 지부·지회가 산별노조 하부조직이라는 원칙은 인정했다. 그러나 “독자적인 규약과 집행기관을 가지고 독립한 단체로 활동해 근로자단체에 준하는 지위를 가진 경우 조직형태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단체교섭·협약을 하지 못하더라도 근로자 단체로서 독립적으로 의사를 결정할 능력을 갖췄다면 자주적·민주적 결의를 거쳐 목적이나 조직을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경북 경주의 자동차 부품업체 발레오전장시스템코리아(옛 발레오만도) 노조는 금속노조 산하에 있다가 2010년 6월 조합원 총회를 열어 기업노조인 발레오전장노조로 조직형태를 변경했다.
노사분규로 직장폐쇄가 장기화하자 금속노조의 강경투쟁에 반발한 조합원들이 주도했다. 총회에는 조합원 601명 중 550명이 참석해 97.5%인 536명이 기업노조 전환에 찬성했다.
총회에 참석하지 않은 금속노조 산하 지회장 등은 금속노조 규약상 총회를 통한 집단탈퇴가 금지돼 있고 기존 노동법 해석 역시 마찬가지라며 소송을 냈다.
1·2심은 독자적인 규약과 집행기관에 단체교섭·협약체결 능력까지 갖춰야 조직형태 변경을 할 수 있는 노조법상 노동조합이라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하급심은 발레오만도지회 규칙상 금속노조 의사에 반하는 결정을 할 수 없고 임금교섭이나 단체협약 체결도 금속노조 차원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독립된 노조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