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DB |
북한의 공단폐쇄 조처가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아직까지 입주기업조차 정확한 피해규모를 산정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초기투자비용, 재고자산, 잔존가치로만 추산해 봐도 500억원에 이른다.
15일 대전시와 충남·북도, 입주기업 등에 따르면 충남지역 업체 2곳의 피해액은 145억원으로 추정된다.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당진 소재 (주)에스디비는 개성공단에 29억원을 투자했고 공단 내 묶여있는 재고자산이 60억원에 달한다.
공단에서 토목·건축용 섬유제품을 생산해온 논산 소재 (주)에스엠테크텍스는 20억원 상당의 재고를 포함해 56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
이들 두 기업이 개성공단에서 고용한 북한근로자는 400여명 가량이다.
대전지역에선 남성정장 등 의류생산 전문업체인 (주)에스엔지와 기능성신발을 생산하는 한스산업(주)이 각각 100억원과 35억원을 공단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연료펌프용필터 제조업체인 케이엠에프(세종)는 100억원대 피해가 예상되는데 이는 2013년 개성공단 가동중단 당시와 비슷한 수준으로 파악된 것이라고 세종시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케이엠에프 측과 연락이 닿지 않고 있어 시 차원의 면담조차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충북의 중견기업 자화전자의 경우 2007년 건물, 토지, 기계설비 등의 공단 초기투자비용에 감가상각을 적용하면 지난해말 기준 현지공장의 잔존가치가 12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개성공단입주기업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입주기업들의 정확한 피해규모를 산출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단폐쇄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 직접적인 피해가 점차 현실화하자 일부 기업들은 정부 정책에 대한 실망과 함께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개성공단에서 생산해온 물량을 맞추려면 국내나 해외업체로 우회할 수밖에 없는 만큼 불어난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개성공단 북한근로자의 한달 임금은 160달러로 20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
지역의 A업체 대표는 “폐쇄된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될 수 있으리라는 희망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는 막대한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들을 상대로 아무 실효성 없는 대책만 쏟아내고 있다”면서 “이미 주문 받은 물량을 어떻게든 제때 공급하려고 국내업체와 동남아 쪽 해외업체에 하청을 줬는데 인건비 차이가 엄청나 오히려 손해를 볼 것 같다”며 울상을 지었다.
B업체 관계자는 “개성공단 폐쇄와 관련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란 것이 어차피 미래에 돈을 갚아야 하는 융자 개념이고 세금 몇푼 유예해 준다는 것 아니냐”며 “공단 내 재고와 설비 등을 이대로 반출할 수 없다면 정부의 적절한 보상이 반드시 뒤따라야 함은 물론 납품 지연, 기업 신뢰도 하락에 따른 유·무형의 피해에 대해서도 정부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승현 기자 heyyu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