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경산시 중방동 옥천서당에서 열리는 달성 서씨 현감공파 동고공 자손들의 차례 모습./자료=연합 DB |
차례는 차(茶)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禮)를 뜻하며 집마다, 지방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설 차례상 차림의 기본은 5열로 차립니다.
병풍 앞에 조상들이 앉아서 식사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병풍과 제일 가까운 첫번째 줄에는 밥 대신 떡국을 놓습니다.
2열, 두 번째 열에는 적과 전을 두는데 이 때는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의 원칙에 따라 물고기는 동쪽, 고기는 서쪽에 두고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에 놓습니다.
차례상의 동서남북은 제사를 모시는 제주가 차례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기준이 되므로 병풍과 신위가 놓인 쪽이 북쪽이고 제주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됩니다.
3열, 세 번째 열에는 국물이 있는 탕류를 놓으며 4열, 4번째 열은 반찬을 놓는데 좌포우혜(左鮑右醯)라 하여 왼쪽 끝에는 포(脯),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차리고 중간에는 나물반찬을 놓습니다.
마지막 5열, 5번째 열에는 과일을 놓습니다. 홍동백서, 붉은 과실은 동쪽, 흰 과실은 서쪽에 자리하며 조율이시(棗栗梨枾)의 순서로 대추와 밤과 배와 감을 놓습니다.
대추와 밤과 배와 감은 우리나라 제사상에 놓는 과일의 가장 기본적인 4가지입니다.
조(대추)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을, 율(밤)은 한 송이에 3톨이 들어있으므로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3정승을 뜻하고, 이(배)는 씨가 6개 있어서 6조판서를, 시(감)은 씨가 8개 있으므로 우리 나라 8도를 각각 상징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차례상에는 귀신을 쫓는다는 복숭아와 꽁치·삼치·갈치 같이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쓰지 않으며 고추와 마늘 같은 자극성 있는 양념도 피합니다.
논산에 있는 윤증 고택은 조선 후기 대학자인 명재 윤증 선생이 말년을 보냈던 곳인데요. 윤증 선생의 집안에서는 명절 차례상에 떡이나 유과, 전 같은 음식이 오르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신 대추, 밤, 감 같은 과일과 평소 먹는 음식을 올린다는데요, 이는 1년에 수십 번 제사를 지내야 하는 사대부 집안에서 여성들의 고통을 헤아린 윤증 선생이 제사상에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은 올리지 않도록 유언을 남겼다고 합니다.
대신 제수음식을 장만할 때 종이로 입을 봉해 침이 튀지 않게 정성을 다하도록 하라는 것이 윤증 선생의 뜻이었다고 합니다.
300 여년 전에 돌아가신 유학자의 유언이지만 오늘을 사는 우리들도 깊이 새겨볼만하지 않을까 합니다.
김의화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