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다가오는데… 임금체불에 우는 근로자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설 명절 다가오는데… 임금체불에 우는 근로자

지난해 말 지역 체불액 16억 2013년 이후 '최고 수준'… 도로·건설현장 등 생계 막막

  • 승인 2016-02-02 17:51
  • 신문게재 2016-02-03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 연합 DB
▲ 연합 DB
아산의 한 도로건설 현장에 흙을 운반한 덤프트럭 기사 최모(55)씨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장비대금 970만원을 아직 못 받았다.

건설현장의 특성상 공사가 중단되면 발주처로부터 준공 대금을 받지 못한 원청사가 하청에 공사비를 주지 못하기 때문에 체불이 발생해도 일을 중단할 수 없었다.

발주처가 11월 말 준공기성 29억원을 지급하면 최씨도 그동안 밀린 장비대금도 받을 줄 알았으나, 원청 기업은 기성을 받고 나흘 후 부도 처리됐다.

최씨는 “장비 대를 당장은 못 받아도 준공 후에 나오는 기성금으로 지급될 것으로 믿고 꿋꿋이 일했는데 지금껏 빈손이다”며 “민사소송을 해야는데 갑갑하고 설에 세뱃돈이나 준비할 수 있을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고향을 찾는 부푼 기대에 설명절을 앞두고 대전·충남의 근로자들이 일부 악성 임금체불에 눈물짓고 있다.

지난해 말 지역에서 발생한 임금 체불금액은 2013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늘어났고, 도로건설 현장의 근로자 체불액도 2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임금 체불 신고액이 지난해 300억원을 넘어섰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매년 임금 체불액을 조사하는데 지난해 지역 임금체불 신고액은 314억5200만원으로 이는 2013년 272억9700만원, 2014년 288억6600만원을 크게 넘어선 수준이다.

임금체불이 신고되면 고용노동청이 사업주에게 지급을 촉구하거나 직접 사법처리하는 방식으로 체불 신고액의 90% 남짓은 처리돼 실제 체불액은 크게 감소한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까지 해소되지 않아 처리 중인 체불금액도 근로자 240명 15억9200만원에 달해 2013년 8억원, 2013년 198명 8억700만원, 2014년 176명 7억8000만원 보다 많다.

더욱이 지난 1월 임금체불 342건 체불액 25억3500만원이 신고돼 지난달 말 기준 체불액은 41억2700만원까지 늘었다.

건설현장에서 하루하루 노동으로 살아가는 건설근로자에 대한 임금 및 대금 체불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대전국토관리청이 대전과 충남ㆍ북 도로공사 현장을 지난달 일제히 조사한 결과 4개 현장에서 노무비와 장비대금 등 28억원이 근로자에게 지급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5일까지 해소에 나섰다.

또 충청권에서 가장 많은 건설근로자가 일하는 세종에서도 임금체불이 발생해 지난해 행복도시건설청이 123건 16억3400만원의 체불임금을 처리하기도 했다.

대전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지역에서는 제조업과 도ㆍ소매업소에서 체불임금이 10% 남짓 늘어났는데 메르스 악재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업주에게 임금체불을 해소하도록 조치하고 근로자에게 생계비 지원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한해 800명 달해
  2. 태안에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만든다
  3. 김태흠 충남지사, 2026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앞두고 분야별 상황 점검
  4. 충남도 '2025 수출기업 최고경영자(CEO) 포럼' 개최
  5. 충남도-15개 시군 정책현안 논의… "공조체계 굳건히"
  1. ‘충남TP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개소
  2.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25년 천안문화도시 리빙랩 참가자 모집
  3. [사설] 대전교도소 이전, 대선 국면 돌파구를
  4.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5. [사설] 석탄산업 퇴장 이후 일자리 대안 뭔가

헤드라인 뉴스


檢, 문재인 전 대통령 전격기소…대선정국 파장 촉각

檢, 문재인 전 대통령 전격기소…대선정국 파장 촉각

문재인(72)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45)씨의 항공사 특혜 채용 의혹 등을 수사해온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혐의로 재판에 넘긴 것을 둘러싸고 정치권이 뜨거운 공방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명백한 정치보복이라며 검찰을 해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국민의힘은 누구라도 법 위에 설 수 없다며 향후 나올 법원 판단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6·3 대선을 40여 일 앞두고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전격 기소한 가운데 이 사안이 대선정국 민심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촉각이다. 전주지검 형사3부(배상윤 부장검사)는 24일..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1년 5개월여 동안 30~40%가량 하락했던 세종시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이전 수준까지 회복할지 주목된다. 여기에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 등 지역이 '풍선효과' 수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전주(0.04%) 대비 무려 6배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다. 2023년 11월 20일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세종 집값은 지난주 70주..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우리나라 괘불도 양식의 시초로 평가받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가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掛佛圖)'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할 때 거는 대형 불화로,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전국에 약 120여 점이 전하며, 이 가운데 국보 7점, 보물 55점이 포함돼 있다. 이번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국가유산청은 "화기(畵記) 등 기록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