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대성 교수(건양대병원 유방·갑상선크리닉) |
우리나라는 유독 갑상선질환 환자가 많다.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갑상선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44.7명으로 5.1명인 일본의 8배, 6.8명인 유럽의 6배가 넘는다. 12명인 미국과 비교해도 크게 높다.
다행히 조기진단을 통해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갑상선 환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여전히 갑상선의 조기진단과 예방이 강조되고 있다.
▲갑상선암이란=갑상선은 목의 전면에 나비모양으로 기도를 감싸고 있는 장기로 자율신경과 관련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이곳에 생기는 암을 총칭하여 갑상선암이라고 한다.
갑상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예후가 좋은 암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무서운 추세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여성의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어 관심과 우려를 함께 불러일으키고 있는 암이다.
갑상선암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 것은 갑상선암의 발병 요인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진단율이 늘어난 것이 더 큰 이유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진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유방암 초음파 검사를 실시할 때 갑상선 검사를 같이 하기 시작하면서 갑상선암의 진단이 급격히 증가했으며, 초음파 진단 장비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이전에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작은 크기의 종양들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갑상선암은 여자가 남자보다 4~5배 많고, 일반적으로 30~50대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다. 남녀의 연령에 따른 발생률에도 차이가 있는데, 소아에서는 남녀 모두 갑상선암 발생이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여자는 20세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50세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남자는 40세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진단=나날이 발전하는 현대 의학은 갑상선 분야에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그 진단과 치료의 면모가 달라졌다. 갑상선 질환자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다행스럽게도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동반된다면 몇 가지 악성종양만 제외하고는 완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암은 전혀 특별한 증세 없이 갑상선 부위에 멍울(혹·덩어리)이 만져져서 병원에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갑상선 부위의 멍울이 만져진다면 그 중 20~30%가 암으로 판명된다.
대부분 수술 전에 초음파 촬영, 세침흡입 세포검사, 총 조직검사, 컴퓨터 촬영 등을 통해 갑상선 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이 결정되는데, 일부의 경우에 수술 전에는 암으로 판정할 수 없어서 수술 후에 제거된 갑상선 조직의 조직학적 현미경 검사에서 암으로 판명된다.
▲치료와 수술=갑상선암의 치료는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목 부위는 숨 쉬는 기관지, 음식을 먹는 식도,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 정맥, 신경 등 중요한 조직들이 분포되어 있어 이러한 기관이 손상을 받거나 암이 그곳까지 파괴시켰다면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갑상선암은 다행히도 대부분이 분화가 좋으며, 적절한 수술 및 수술 후의 방사성 옥소 및 호르몬 치료로 완치할 수도 있기에 수술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갑상선암은 크게 나누어 경과가 아주 좋은 분화암과 경과가 아주 나쁜 미분화암으로 나눠진다. 이 중 분화암이 90%인데, 분화암은 여포성암과 유두상암으로 나눠지며 미분화암에 비해 외과적인 절제술로 경과가 월등히 좋다.
최근에는 작은 크기의 갑상선 암 또는 양성 종양의 경우에 전경부(목 앞쪽)의 수술 상처를 피한다. 또 겨드랑이나 유륜(유두주위) 부위에서 작은 상처를 통해 내시경 수술로 갑상선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이 소개돼 임상적용 되고 있다. 아직 이 내시경 수술은 갑상선암에서는 제한된 범위에서만 적용된다. 양성종양에서는 많이 시술되고 있다. 내시경 시술로 갑상선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부위가 보이지 않고, 기존 수술보다 통증이 적어 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갑상선암의 조직학적 종류, 크기, 위치, 주변 조직으로 침윤 여부 등에 따라 수술의 범위나 종류가 결정된다.
갑상선암으로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술 후유증으로 약 1%에서 목소리를 조절해주는 반회귀 후두 신경의 손상이 발생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에 약 6개월 내지 1년이면 거의 회복한다. 일부는 성대 성형수술로 치료 될 수 있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