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관련 기술 개발과 관리표준화·정책 등을 담당하는 국제 DOI 재단(IDF)으로부터 DOI 등록관리기관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DOI는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처럼 콘텐츠 또는 사물에도 개별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 식별체계다. 문헌을 비롯한 연극·영화 등 모든 유무형의 콘텐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안의 표나 이미지 같은 세부 콘텐츠에 대해서도 부여가 가능하다.
쉽게 중도일보 신문 1일 자 모든 기사에도 DOI를 부여 할 수 있으며, 그 중 기사 1개만으로도 DOI를 부여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한 박물관 유물에도 DOI가 부여된 사례가 있다.
DOI의 가장 큰 장점은 콘텐츠의 인터넷 주소나 위치가 바뀌어도 쉽게 찾을 수 있어 기존 식별체계와 충돌하지 않고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KISTI의 기관 등록으로 지금까지 DOI를 부여받지 못해 국내외로 유통할 수 없었던 과거 국내 학술정보·국내 특허·국내 기관의 공공 데이터를 국제 유통 플랫폼에 한국 고유의 데이터로 유통을 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전 세계 DOI 등록관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 위치 정보를 포함한 과학기술 R&D 최신 정보를 국내 이용자들이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2016년 1월 현재 기준으로 DOI 이름이 부여된 콘텐츠가 1억 2000만 건이 넘고, 해마다 16% 정도 그 양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외 정보 유통 비용 절감은 물론 원활한 과학기술정보 교류를 기대할 수 있다.
KISTI는 DOI 등록관리기관 역할 기구인 'Korea DOI Center'를 운영해 과학기술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학술단체, 출판사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신진섭 정보기반실 선임연구원은 “KISTI가 과학기술정보를 다루는 기관인 만큼 과학기술 정보에 DOI를 부여하는 것을 시작으로 모든 콘텐츠, 사물 등에 식별자를 부여해 어떤 정보든 쉽고 항구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앞으로의 사물인터넷 시대 등에 따라 DOI의 역할을 더욱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