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의화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는 24일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회동을 갖고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안과 쟁점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이 인사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새정치민주연합 정개특위 간사 김태년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정의화 의장,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새누리당 정개특위 간사 이학재 의원.
연합뉴스 |
정의화 국회의장은 24일 오후 의장실에서 양당 대표, 원내대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와 선거구 획정 담판 회동에 나섰으나 결론를 내지 못했다.
정 의장과 양당 지도부는 27일 다시 만나 선거구 획정 재논의에 나서기로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회동 직후 “진전이 없었다”면서 “한번 더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정 의장이 가운데서 여러 중재안을 두고 노력했지만 새누리당이 모든 방안을 다 거부했다”면서 “새누리당이 워낙 완강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날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선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가미된 균형의석제(일명 이병석 중재안) 도입 ▲이병석 중재안 중 정당득표율 보장 의석을 50%에서 40%로 하향 조정하는 안 ▲선거연령 만18세로 인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새누리당은 연동형 비례 대표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