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지역내총생산 104조…전국 7%

  • 정치/행정
  • 충남/내포

충남 지역내총생산 104조…전국 7%

지난해 전년비 4.9% 성장… 제조·운수업 등 증가 총소득 77조 전국 5.2% 차지… 개인소득 34.7조

  • 승인 2015-12-24 17:32
  • 신문게재 2015-12-25 2면
  • 내포=유희성 기자내포=유희성 기자
지난해 충남의 지역내총생산(명목)은 103.7조원으로 전년대비 4.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7%를 차지하는 규모다.

24일 충남도는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지역 경제 상황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충남은 지난해 사업서비스업(-2.9%)과 건설업(-0.5%)은 감소하고 제조업(4.2%)과 농림어업(9%) 등은 증가했다. 민간소비(3.9%)는 증가세가 지속됐지만, 정부소비(6.7%)와 건설투자(2.3%), 설비투자(11.1%)는 모두 증가폭이 둔화됐다.

충남의 경제구조는 제조업 비중이 가장 크다.

다만 지난해는 제조업 비중이 전년보다 2.1%p 감소한 52.4%를 차지했다.

전기ㆍ가스ㆍ수도업(3.3%→4.7%)과 농림어업(4.5%→4.9%) 등의 비중이 전년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제조업 중에서는 비금속광물ㆍ금속제품(10.3%→11%), 목재ㆍ종이제품ㆍ인쇄업(0.7%→0.8%) 등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기계ㆍ운송장비ㆍ기타제품(9.5%→7.9%), 전기ㆍ전자ㆍ정밀기기(22%→20.9%) 등은 감소했다.

충남의 지역총소득은 77.2조원으로 전국의 5.2%를 차지했지만, 증가율은 3%로 전국 평균(3.9%)보다 낮았다.

지역내총생산 대비 지역총소득 비율은 74.4 수준으로 전년보다 하락했다.

지역총소득 중 피용자보수는 총소득의 34.9%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잉여 및 재산소득은 16.6%, 생산 및 수입세는 15.2%를 차지했다.

개인소득은 34.7조원으로 전년보다 1.8조원(5.5%)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개인소득은 5%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지난해 국내 전체 지역내총생산은 1485조원으로 전년보다 약 54조원(3.8%) 증가했다. 충남과 경기, 제주 등은 제조업 및 운수업 등의 증가에 힘입어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국내 전체의 명목 최종소비지출은 975조원으로 전년보다 30조원(3.2%) 증가했다.

실질 민간소비는 모든 지역에서 증가세가 나타났다. 충남(3.9%), 제주(3.4%), 전북(2.7%) 등은 교통, 의료ㆍ보건, 오락ㆍ문화 등의 지출 증가로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실질 건설투자는 다수 지역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가세가 둔화됐다.

지난해 국내 지역총소득(명목)은 1496조원으로 전년보다 약 56조원(3.9%) 증가했다.

대전(8.0%), 경북(8.9%), 대구(7.5%) 등은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 등의 증가로 비교적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전체의 개인소득(명목)은 835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약 38조원(4.8%)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변화를 감안한 실질 개인소득은 전년보다 확대된 3.5%가 증가했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발표 코앞… 대전 파급력 등 평가 긍정적 기류
  2.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3. 대전 상장기업 64개 넘어...올해도 달린다
  4. 대전시의회 조원휘 "안산산단 9부 능선 넘어"… 불필요한 책임공방 무의미
  5.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1. [오늘과내일] 역사 속 을사년
  2. 2025 대전 사회복지계 신년교례회 개최
  3. 더불어민주당 각급 위원회 발대식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대개혁 앞장"
  4. 세계로 가는 수자원공사 중동이어 아프리카 시장 진출
  5. 대전 동구, 주거 취약가구 환경 개선 위해 민관 힘 모은다

헤드라인 뉴스


의대 최초합격자 등록포기 수도권 줄고 비수도권 크게 늘어

의대 최초합격자 등록포기 수도권 줄고 비수도권 크게 늘어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시 모집에서 서울권 의대 최초 합격자의 등록 포기율은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에선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에 따른 중복 합격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6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 중 2025학년도 정시 모집 최초 합격자 등록상황을 공개한 7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이화여대 등 서울권 의대 4곳에서 최초 합격자 24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전년 28명보다 14.3% 감소한 수치다. 부산대·연세대 미래·제주대 등 비수도권 의대 3곳에선 17명이 등록을 포..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대전시는 '대전 꿈씨 패밀리'를 앞세워 도시브랜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 대전시는 꿈돌이에서 확장된 꿈씨 패밀리를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매력적인 도시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관광 상품화 ▲도시홍보 강화 ▲상품화 모델 구축 ▲온라인 강화 등 4개 추진 분야, 12개 중점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130여 개 세부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관광 상품화와 도시홍보 강화에 적극 나선다. 올해 상반기 대전관광공사 원도심 이전 등을 통해 관광 거점 공간을 마련하고, 서울안테나 숍 2호점..

오렌지 등 신선과일 수입액 역대 최대치... 14억 달러 넘었다
오렌지 등 신선과일 수입액 역대 최대치... 14억 달러 넘었다

오렌지, 파인애플 등 신선과일 수입액이 2024년 처음으로 14억달러(2조 220억원)를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12대 주요 신선과일 수입액은 2023년(12억 500만달러)보다 20.1% 증가한 14억 4700만달러(2조 899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12대 신선과일은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아보카도, 포도, 키위, 체리, 석류, 블루베리,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이다. 2024년 수입액은 2018년에 기록한 직전 최대치인 13억 3200만달러보다 8.6% 많다. 신선과일 수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 ‘하늘아 예쁜 별로 가’…하늘에 띄우는 마음 ‘하늘아 예쁜 별로 가’…하늘에 띄우는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