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전국의 7%를 차지하는 규모다.
24일 충남도는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지역 경제 상황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충남은 지난해 사업서비스업(-2.9%)과 건설업(-0.5%)은 감소하고 제조업(4.2%)과 농림어업(9%) 등은 증가했다. 민간소비(3.9%)는 증가세가 지속됐지만, 정부소비(6.7%)와 건설투자(2.3%), 설비투자(11.1%)는 모두 증가폭이 둔화됐다.
충남의 경제구조는 제조업 비중이 가장 크다.
다만 지난해는 제조업 비중이 전년보다 2.1%p 감소한 52.4%를 차지했다.
전기ㆍ가스ㆍ수도업(3.3%→4.7%)과 농림어업(4.5%→4.9%) 등의 비중이 전년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제조업 중에서는 비금속광물ㆍ금속제품(10.3%→11%), 목재ㆍ종이제품ㆍ인쇄업(0.7%→0.8%) 등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기계ㆍ운송장비ㆍ기타제품(9.5%→7.9%), 전기ㆍ전자ㆍ정밀기기(22%→20.9%) 등은 감소했다.
충남의 지역총소득은 77.2조원으로 전국의 5.2%를 차지했지만, 증가율은 3%로 전국 평균(3.9%)보다 낮았다.
지역내총생산 대비 지역총소득 비율은 74.4 수준으로 전년보다 하락했다.
지역총소득 중 피용자보수는 총소득의 34.9%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잉여 및 재산소득은 16.6%, 생산 및 수입세는 15.2%를 차지했다.
개인소득은 34.7조원으로 전년보다 1.8조원(5.5%)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개인소득은 5%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지난해 국내 전체 지역내총생산은 1485조원으로 전년보다 약 54조원(3.8%) 증가했다. 충남과 경기, 제주 등은 제조업 및 운수업 등의 증가에 힘입어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국내 전체의 명목 최종소비지출은 975조원으로 전년보다 30조원(3.2%) 증가했다.
실질 민간소비는 모든 지역에서 증가세가 나타났다. 충남(3.9%), 제주(3.4%), 전북(2.7%) 등은 교통, 의료ㆍ보건, 오락ㆍ문화 등의 지출 증가로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실질 건설투자는 다수 지역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가세가 둔화됐다.
지난해 국내 지역총소득(명목)은 1496조원으로 전년보다 약 56조원(3.9%) 증가했다.
대전(8.0%), 경북(8.9%), 대구(7.5%) 등은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 등의 증가로 비교적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전체의 개인소득(명목)은 835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약 38조원(4.8%)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변화를 감안한 실질 개인소득은 전년보다 확대된 3.5%가 증가했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