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대학별로 프라임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입학정원 조정과 단과대학별 학문단위 개편 계획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지만 상당수 대학이 학내 반발을 고려해 대형보다는 소형으로 방향을 선회하거나, 프라임사업보다는 인문역량 강화사업인 코어사업으로 내부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대전ㆍ충남 대학들에 따르면 지난 11일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2차 공청회와 지난주 고용정보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발표 이후 프라임사업을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대학은 대전 2~3곳, 충남 2~3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당 최대 300억원이 지원되며 올 연말 대학가 최대 이슈로 꼽히던 재정지원 사업치곤 대학들의 관심이 저조한 셈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대학이 지원하는 방향도 대형보다는 소형이다.
당초 교육부는 진로·취업 중심으로 입학정원의 10%(최소 100명 이상)내지는 200명 이상의 정원을 이동시켜야 하는 사회수요선도대학(대형)과 신기술·직종·융합전공 등으로 입학정원의 5%(최소 50명 이상)내지는 100명 이상의 정원을 이동시켜야 하는 창조기반선도대학(소형)으로 나눠 대형은 평균 150억 원씩 9개교 내외, 소형은 평균 50억 원씩 10개교 내외를 선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렇게 지역대학들이 당초 기대와는 달리 프라임사업에 소극적인 것은 프라임사업을 준비하려면 이공계 중심의 구조 개혁을 단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는 것이 쉽지 않은데다 지역별 할당이라지만 전체 19개교 선정이라는 위험 부담이 큰 것도 한 이유로 풀이된다.
지역대 관계자는 “프라임사업을 준비하려면 입학정원의 최소한 적정규모가 갖춰져야 하는데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입학정원을 줄여가는 상황에서 또다시 전체 판을 흔드는 구조조정은 너무 위험부담이 크다”면서 “당초 예산이 344억원에서 600억원으로 증액된 코어사업으로 대부분의 대학들이 방향을 튼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