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대전시에 따르면 수질관리, 하천관리는 환경녹지국 생태하천과, 물 재이용, 하수시설 등은 환경녹지국 맑은물정책과, 가뭄 등 재난에 따른 대응과 민방위 비상급수는 시민안전실 재난관리과, 비상대비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문제는 이처럼 물 관리가 여러 실ㆍ과로 분산돼 있다 보니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처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는 올해 최악의 가뭄이 발생하자 맑은물정책과를 총괄 부서로 정하고, 관련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맑은물정책과는 가뭄 초기 타 부서와의 소통 문제로 인해 자료취합 조차 어려움을 겪는 등 총괄부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이후 사정이 나아지긴 했지만,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통합 부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도 물 관리 체계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 8월부터 국토부(수량업무), 환경부(수질업무), 농식품부(농업용수업무), 국민안전처(재난관리) 등 부처별 기능에 따른 분산형 관리체계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또한 지난 2004년부터 국토부, 환경부 등 17개 기관이 물 관련 정보(66종)를 공동 구축ㆍ활용하는 물 관리 정보유통시스템(WINS)을 운영 중이나, 데이터 단순 공유 수준에 불과해 부처간 긴밀한 협력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물 관리 체계의 통합을 논의 중이다.
정성직 기자 noa790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