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명형남 초빙책임연구원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기측정망은 대기오염의 실태와 변화추이, 대기환경기준 달성여부 등을 파악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전국 97개 시·군 506곳에 설치·운영되고 있다”며 “현재 도내 대기측정망은 대기오염의 주요배출시설 등과 결부시켜 보면 다수의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기준 충남은 천안, 서산, 아산, 당진, 공주, 태안 등 6개 시ㆍ군에서 국가 운영 2곳과 지자체 운영 8곳 등 모두 10곳의 대기오염측정망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명 연구원은 “2003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제정 후 대기측정망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대기개선 사업도 수도권 중심으로 추진됐다”며 “또한 환경부의 '수도권 대기개선 추진 사업비'는 '수도권 외 오염심화지역 사업비'에 비해 약 6배나 많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대기오염측정망이 없거나 부족한 충남의 기초 지자체는 산업단지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도 대기오염이 어느 정도 심각한지조차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도내 대기질오염의 정확한 자료가 구축되지 못하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계획수립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령시와 서천군은 주민 건강 피해가 우려되는 화력발전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측정망이 하나도 없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명 연구원은 “서해안 지역은 중국에서 발생하는 황사,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기측정망의 설치·운영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