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지방자치 부활 이후 갈등을 키워오던 지자체간 대화를 통해 상생의 길로 돌아섰거나 '치킨게임'처럼 정면대결만 벌이다 지금까지 앙금으로 남은 사례가 엇갈린다.
충남도 입장에선 환황해권시대 전략적 파트너인 경기도와 갈등봉합을 위해 전자(前者)의 교훈을 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축제를 둘러싸고 수년째 으르렁댔던 서울시와 진주시 사례는 지자체간 갈등극복 수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가 2012년 '서울등(燈)축제'를 추진한 것에 대해 진주시는 '남강유등축제'를 모방했다며 반발하고 나서면서 양쪽의 갈등이 촉발됐다. 진주시장과 시의원들은 서울을 항의방문하고 1인 시위를 벌이면서 두 지자체 갈등은 활활 타올랐다.
하지만, 대결이 능사가 아니라는 판단을 한 서울시와 진주시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지속적인 대화를 했고 축제 명칭 및 내용 차별화 등에 합의했다. 이후 관광활성화, 우수 정책사례 정보공유 등을 골자로 한 협약까지 체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창희 진주시장은 올해 서로 축제장을 번갈아가며 찾아 두 손을 맞잡고 상생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1990년대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이 '위천공단'을 둘러싼 신경전은 갈등봉합 실패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
당시 대구시는 침체에 빠진 섬유산업 등 활성화를 위해 달성군 위천리에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했다. 이에 대해 부산·경남은 식수원 낙동강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며 반발하며 대구를 찾아 시위 등을 벌였다. 힘겨루기가 10여 년 동안 지루하게 이어지다가 이 문제가 흐지부지됐다. TK와 PK 지역에선 아직도 '위천공단' 문제가 거론될 때면 얼굴을 붉히는 경우가 있다는 후문이다.
충남도와 경기도는 당진평택항 도계분쟁, 신평내항 연결도로, 당진 변전소 건립 등 각종 현안의 이익이 상충되면서 마찰을 빚고 있다. 2005년 상생협약을 맺은 바 있지만, 최근 들어 부쩍 불편해진 분위기가 역력하다.
충남도가 경기도와의 갈등봉합 방안을 궁리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서울시-진주시 사례처럼 실무협의회 등을 통해 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 관계자는 “충남과 경기도 사이에 촉발된 문제와 관련해 일부 사안은 관리 중이며 일부는 그렇지 않다”며 “전체적으로 대 경기도 갈등을 다루지는 않지만, 사안별로 일선 시·군과 협의해 갈등조정위원회 등을 활용해 문제를 풀어가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내포=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