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선 전통시장 내에 공공서비스 전달을 목적으로 지자체 또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건축물인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집중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주민들이 전통시장 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가능케 하고 자연스럽게 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충남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적극적인 커뮤니티시설 도입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서 나왔다.
이에 따르면 도는 2004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 이전부터 중앙정부와 연계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해 기준으로 도내 68개 시장에 3206억 95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 가운데 97.6%(3130억 1000만원)은 시설현대화사업에 쓰인다.
고작 2.4%(76억 8400만원)만 공동마케팅, ICT 교육, 상인조직역량강화 등의 경영혁신사업에 투입되고 있을 뿐이다.
시설현대화사업은 전통시장 인프라를 개선하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반드시 지속적인 이용객 확충으로 연결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전문가들은 이보다는 주민 활동 공간을 전통시장에 마련해, 자연스럽게 시장 이용을 활성화토록 유인하는 정책도입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커뮤니티 시설은 다목적광장, 문화·복지·교육 시설 등이 해당한다.
충남도가 이같은 시설에 대한 투자를 외면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 이 분야에 투입되는 1641억 1700만원 가운데 86.5%(1420억 4000만원)이 도로, 주차장 등 교통시설 확충에 집중된 것은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통시설은 고객 접근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사업이지만, 사람 활동을 촉발시켜 소비로 잇는 진정한 커뮤니티 시설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 때문이다.
문화 및 복지 시설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대목이다.
이상준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선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을 도입해야 한다”며 “이와 관련 지자체별 통합TF팀을 구성하고 중앙부처 지원사업을 발굴하는 등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포=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