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과 나노입자 기술을 이용해 암세포만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복합체는 그래핀과 은 나노와이어를 합성해 산화이리듐을 전기화학 증착해 제작했다. 그 결과 복합체는 투명해 공간적 제약 없이 내시경 렌즈 위에 부착할 수 있었다.
또 신속한 조직검사로 암의 생화학 정보를 즉시 얻어 대장암을 진단 할 수 있게 임피던스와 산성도 측정 센서기능이 추가됐다.
연구팀은 항암치료 기능을 갖추기 위해 내시경에 달린 광원으로 적외선을 조사해 금 나노막대의 온도가 올라가 광열치료가 가능하게 제작했다. 동시에 활성산소를 만드는 염료가 반응해 광역동치료를 겸할 수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그래핀과 나노입자를 동시에 의료기기에 적용한 것은 처음이다”라며 “이번 연구는 동물실험으로 확인했는데 앞으로 임상을 거쳐 로봇을 이용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