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0일 대전 서구 시청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과 대전환경운동연합ㆍ보건환경시민센터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을 실시했다. |
“드러나지 않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모르고 지나가는 사람이 없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에서 '유찬 아빠'로 더 알려진 나모(42·대전 서구)씨가 굳은 표정으로 말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대전 서구의 식당에서 대전과 충남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들이 투·간병의 일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들은 “떠난 가족을 그리워하면서 남은 가족들에게 살균제 피해가 어떻게 나타날 지 몰라 평생 짐을 안고 살아가야 한다”며 고통을 호소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주관한 이날 피해자 모임에 참여한 피해자 가족은 '유찬 아빠' 나씨와 지난 5월 아내를 잃은 이모(48)씨다. 생계 문제와 중간에 합의가 끝난 피해자들 때문에 이번 모임 참여자 수는 그리 많지 않았다.
'유찬 아빠' 나씨는 2007년 6월 돌을 갓 지난 유찬이를 저세상으로 떠나보냈다. 당시만 해도 유찬이가 왜 아팠는지 조차 알 수 없었다. '간질성폐질환'으로 투병하면서 약에 의존하다 14개월의 삶을 마감했다. 그는 2011년이 돼서야 유찬이와 증세가 똑같은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유찬이가 떠난 후 시작된 싸움은 현재 진행형이다. 회사를 상대로 한 소송은 최근 들어 관련 재판에 속도가 붙으면서 조금 마음을 놓았지만, 나씨는 남은 가족들을 생각하면 여전히 마음이 무겁다. 가습기 피해로 인한 폐질환 특성상 증세가 언제 어떻게 나타날 지 방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씨는 “엄마 뱃속에서 가습기 살균제 영향을 받은 막내는 2급인데 아내는 다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3급 판정을 받았다”며 “피해자들에게는 평생을 안고 가야 하는 짐인데 등급을 나누는 체계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피해자 가족인 이모(48ㆍ대전 서구)씨는 지난 5월 아내를 잃었다. 입원 치료 중 부종이 빠지면서 쇼크가 왔고 회복이 안돼 일주일 만에 숨을 거뒀다. 이씨의 아내 이모(당시 45세·여)는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가습기를 사용하던 중 실신하고 병원에 이송돼 폐렴 판정을 받았다. 이후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다 결국 생을 마감했다.
이씨는 “두 아들도 마음을 놓을 수 없어 이번 3차 조사를 의뢰했다”며 “큰 아들 아토피가 심한 것도 가습기 살균제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직까지 가습기 살균제와 피부병·심장병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논문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피해자들은 주장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3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모두 105건이 접수됐다.
임효인 기자 hyo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