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희정 아산 송남초등학교장 |
이에 미래핵심역량 교육을 위해 학교에서 교사들이 가장 역점을 두어 준비해 할 것은 무엇보다 수업의 개선이다. 핵심역량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수업 실현의 사전 단계로는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필수적이다. 핵심역량 맥락 중심으로 적절한 학습 소재와 내용, 방법을 재구성해 내는 교사 역량은 미래핵심역량 교육 실현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는 '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로 학생은 '왜, 내가 학습해야 하는가?'를 생각하고 질적이고 과정을 중시하는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내가 근무하는 송남초등학교는 일찍이 강의식 수업형태보다는 팀 학습, 토론학습, 주제 중심 통합학습, 현장학습, 프로젝트학습 등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실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지역사회와 학교에 맞는 미래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같은 학년 협의회를 거쳐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학년별, 학급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공동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해가고 있다.
오늘도 송남초등학교 교사들은 개인의 역량을 키우고 학습공동체 중심의 학교문화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수업 개선을 위해 자발적 수업연구와 교육과정 재구성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다. 배움 중심의 수업을 실천하며 아이들의 생각이나 학생 상호간 협력을 이끌어내는 활동을 다양한 형태로 전개하고 있다. 학생들은 그 속에서 스스로 활용할 무대를 만들고자 오랜 시간 회의를 하고, 설계도를 그리고, 기계톱을 이용해 목재를 자르며 땀을 흘리고 있고, 연극을 하려고 내용을 기획하고, 옷을 재단하고, 메이크업에 대해 토론하고, 음향과 조명을 연구하며 건강한 웃음 속에서 알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실생활에 활용되고 확장되는 즉 학습의 전이가 계속 이루어지고 미래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