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5~2009년까지 곤충 소재 의약품 관련 출원이 매년 10건 안팎이었으나,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며, 매년 20~30건을 넘어서고 있다.
곤충은 특성상 신약 개발을 위한 생물자원으로서 여러 장점이 있으며, 지구상의 알려진 동물 약 100만 종 중 곤충은 4분의3 이상을 차지할 만큼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합성 신약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고, 식물 등 다른 생물에 비해 연구가 덜 이루어져 새로운 발견 가능성 등 안전성 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곤충 소재 의약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특허출원 동향을 분석한 결과로도 확인된다.
대상이 되는 곤충의 종류도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약재로 사용되어 온 벌침, 누에 외에도 최근에는 갈색거저리, 동애등에, 꽃매미 등과 같이 생소하거나 약용으로 알려지지 않은 종류로 확대되는 추세다.
적용 대상이 되는 질환도 염증, 암, 알츠하이머, 심혈관계 질환, 바이러스 질환 등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곤충에서 펩타이드, 다당폴리머 등 특정한 약효 성분만을 분석, 분리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쇠똥구리가 자기방어를 위해 분비하는 항균 펩타이드를 천연 항생제로 이용하거나, 뒤영벌에서 분리된 다당폴리머를 심혈관계 질환 치료에 이용하는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 특허등록을 받은 사례로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이용한 치매 예방·치료용 조성물', '꽃매미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레르기 조성물', '항비만 효과를 갖는 장수풍뎅이 추출물' 등이 있다.
김용정 약품화학심사과장은 “세계적으로 곤충 산업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곤충을 소재로 한 신약 개발이 유망한 분야다”며 “신약 개발의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미지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